사진 : 코드에셋 양원진 대표
코드(숫자) 기반 통합 플랫폼 스타트업 ㈜코드에셋이 가맹점과 이용고객을 위한 O2O쇼핑 플랫폼센터를 경기도 양평에 정식 오픈했다고 7일 발표했다.
코드에셋은 자본금 30억 원으로 시작한 스타트업으로 플랫폼 사업 관련 국내와 국제특허만 37개를 보유하고 있는 기술기반 플랫폼 기업이다.
코드에셋 양원진 대표는 “기존 홈페이지, 블로그, 카페, QR 등으로 마케팅하려면 너무나 많은 비용과 노력이 필요하다. 실시간 홍보와 판촉, 마케팅이 가능한 마이 코드맵 비즈니스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플랫폼센터를 오픈했다. 차량도 10대 구입했다. 마이 코드맵은 개별 연동이 가능한 플랫폼이다. ‘코드맵’은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코드기반 통합 플랫폼으로 모바일 앱스토어에서 무료 다운로드가 가능하다”라고 밝혔다.
한국에 첫 선을 보인 마이 코드맵은 전화번호나 휴대폰 번호로 등록이 가능하다. 가짜 정보, 가짜 뉴스를 완전히 없앨 수 있다. 공급자와 수요자 간 실시간 등록과 공유, 소통이 가능한 맞춤형 플랫폼인 ‘코드맵’은 실시간 개별 연동되는 1인 소셜 미디어 플랫폼 서비스다. 국내 주요 일간지와, TV, 잡지, 방송 등 매체의 기사나 광고 등 콘텐츠에 노출ㆍ게재된 코드맵을 스캔하여 플랫폼에 접속할 수 있다.
O2O쇼핑 공유 플랫폼 서비스는 기존의 선결제, 배송택배, 반품, 반환과정에서 생기는 다양한 불편, 다툼, 과로사, 재고, 폐기 등 사회적 문제 해결사 역할도 가능하다.
온라인 생산ㆍ유통ㆍ판매업체와 O2O쇼핑카(이용고객 수요 매칭 상품별 권역별 단품 공유 배송시스템 제휴ㆍ창업 차량)과 권역별 아웃소싱형 단품 창고 "O2O쇼핑" 제휴가맹점(소규모 물류거점 ,다크 스토어)과 고객 간 실시간 공유ㆍ소통시켜, 연결ㆍ기여ㆍ공헌ㆍ나눔의 가치를 구현하는 뉴딜(NEW DEAL) 상생의 쇼핑 플랫폼 서비스로 자리 잡을 것으로 보인다.
코드맵은 일본, 미국, 싱가포르, 러시아 등 국제특허(PCT) 취득했고, 스마트 단말을 이용하는 코드 및 키워드 기반의 실시간 정보유통시스템 및 정보유통방법에 대한 특허 등록되어있다.
코드에셋 신용균 연구원장은 “우리나라에는 제대로 된 플랫폼이 하나도 없다. 플랫폼에 사람들이 열광하는 이유는 공정성과 적시성, 정확성 그리고 SNS가 되기 때문이다. 코드맵은 업종별, 직종별, 상품별로 수백여 개의 숫자와 코드로 나눈 뒤 코드맵 시스템에 적용한다. 위치기반 서비스(LBS, GPS)를 활용해 가입자가 어디에 있든 기존 플랫폼과는 달리 가까운 거리순으로 해당 업소가 뜨고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 @2016-2021 www.kstartupvalley.com All Rights Reserved.
마이크로바이옴 전문 바이오헬스 R&D 전문기업인 국민바이오㈜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한 민간 투자 주도형 기술창업지원 프로그램 ‘팁스’에 선정됐다고 22일 밝혔다. 2019년 창립된 국민바이오는 바이오산업계의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선도하는 바이오 헬스 식의약 소재 활용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기술혁신 글로벌 R&D 스타트업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미생물(microbe)과 생태계(biome) 합성어다. 국민바이오는 BIG3 바이오 헬스 산업분야에서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바이오 헬스 식의약 소재의 혁신가치를 창출하는 고부가가치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뉴패러다임 인베스트먼트 주관 팁스 프로그램에서는 국민바이오의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포스트 바이오틱스 소재기술과 제품화 개발을 주제로 최종선정되었다. 회사 관계자에 따르면 “바이오 헬스 식의약 소재 마이크로바이옴 조절 포스트 바이오틱스 제품화 기술개발부터 일본 현지 교두보 구축(일본 긴키바이오협회 회원사)과 미국 그리고 베트남 등의 해외시장 선제적인 진입 전략 제시하여 글로벌 성장 가능성을 높이 평가받아 선정됐다”라고 설명했다. 성문희 국민바이오 대표는 “이번 팁스 선정을 계기로 전 세계 바이오산업계의 블
인공지능 기반 광고 플랫폼 버즈빌은 2022년 1분기 잠정 실적 기준, 매출 249억 원(단순 합산 기준)을 달성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대비 약 30% 상승한 수준으로, 1분기 기준 최대 실적이다. 버즈빌은 광고 시장의 계절적 비수기와 코로나 19라는 어려운 대외 환경 속에서도 실적 상승의 주요 요인으로 ‘상품 포트폴리오의 다각화’를 꼽았다. 비대면 소비문화 확산세를 적극 공략한 라이브 커머스 전용 상품 출시, 퀴즈 형태의 참여형 광고 확대가 실적으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버즈빌은 특히 주요 매출 항목인 식음료, 뷰티, 패션, 인테리어, 레저 등의 커머스 분야가 전년도 두배 이상의 매출 상승을 이루었다고 밝혔다. 최근 인수한 핀크럭스, 아바티 등의 주요 연결 자회사 또한 견고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버즈빌의 세일즈 총괄 하승원 이사는 “디지털 광고 시장 평균을 훨씬 웃도는 성장세"라며, “개인정보 강화로 인한 애드테크 시장의 변화 가운데 버즈빌의 AI 기술력과 리워드를 활용한 독창적 광고 형태가 더욱 시너지를 발휘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표현했다. 앞으로 버즈빌은 자회사를 통한 범용 포인트 제휴처 확대, 앱 퍼블리셔를 위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 신제품
credit : 트리플 트리플은 여행 일정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일정과 여행 스타일에 기반한 여행 상품을 추천해, 나에게 맞는 여행을 직접 구성하게 하는 ‘셀프 패키지’ 서비스를 선보인다고 21일 밝혔다. 트리플은 그동안 일정판 내에서 개인에게 맞는 관광지와 맛집을 추천해 주는 장소 추천 기능으로 큰 호응을 받아 왔는데, 여기서 한 단계 더 진화한 것이다. 트리플에 여행 일정이 등록되면 500만 개의 일정 데이터를 분석해, 여행자의 상황과 취향에 맞는 항공권, 숙소, 투어∙티켓 상품을 일정판 내에 추천한다. 이에 따라 유저가 여행 상품 예약을 거듭할수록 추가로 즉시 할인 혜택까지 적용된다. 일정을 만들고 상품을 예약하는 과정이 마치 여행자 개인을 위한 여행 상품 패키지를 구성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셀프 패키지가 기존의 여행 상품 할인과 가장 차별화되는 점은 일정에 함께 하는 동행자도 함께 추가 할인을 받아 구매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지금까지의 여행 상품 할인은 구매자 1인에게만 적용됐지만, 셀프 패키지는 일정에 함께 등록된 동행자에게도 동일한 할인을 적용해 여러 명이 함께 상품을 구매할 수 있어 합리적인 가격의 맞춤 상품을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트리플 김
사진 : 식물성 도산 내부 애그 테크 기업 엔씽이 2021년 론칭한 국내 최초 IoT 쇼룸인 '식물성 도산'이 독일의 국제 디자인 공모전인 ‘iF 디자인 어워드 2022(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2)’에서 브랜드 쇼룸 부문 본상을 수상을 하였다고 19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20년 자체 개발한 컨테이너형 수직농장의 건축부문 수상에 이은 두 번째 수상이다. '식물성 도산'은 ‘지구와 화성 사이에 위치한 신선함의 별’이라는 뜻으로 엔씽의 혁신적이고 실험적인 아이디어를 시각화한 프리미엄 복합 공간으로 지난해 7월, 서울 압구정 도산에 첫 선을 보였다. 화성을 연상시키는 오브제로 꾸민 공간 연출과 엔씽의 모듈형 컨테이너 수직농장인 ‘큐브(CUBE)’가 설치되어, 척박한 우주의 질감과 푸르른 채소가 조합된 분위기가 이색적이다. 특히, 도심에서 신선한 채소가 재배되는 전 과정을 즐길 수 있는 시티 팜(city farm)으로서의 볼거리와, 직접 재배한 신선한 채소와 이를 활용한 식음료 메뉴로 바쁜 일상 속 쉼표를 찾는 사람들에게 휴식의 공간으로 자리매김해 가고 있다. 식물성 도산의 디자인 기획한 정희연 디자인 총괄이사는 “스마트팜
협약식 단체 사진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가 ‘2022 강원형 뉴딜 특화분야 창업지원사업’의 최종 선정기업 12개 사와 협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사업화 지원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강원형 뉴딜 특화분야 창업지원사업’은 강원권 특화산업인 ‘디지털 헬스케어’와 ‘스마트 관광’ 분야의 성장성 높고 기술경쟁력과 사업성을 갖춘 극 초기 단계(창업 3년 미만) 창업기업을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사업이다. 이번에 선정된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창업기업은, 마인드허브(뇌질환 환자 특화 인지 및 언어 재활 서비스), 실비아헬스(고령자 비대면 인지 건강 관리 서비스), 은혜숲(데일리 멘탈 케어 솔루션), 메디버튼(환자용 의무기록 관리 플랫폼), 클릭사운드(턱관절 질환 App 연동형 스마트 스플린트), 헤세드릿지(사내 복지 건강관리 서비스) 등 6개 기업이다 또한 스마트 관광 분야는, 개고생(실시간 위치추적 반려동물 국가등록칩), 마이컬처(강원도 농식품을 이용한 K-food 쿠킹 클래스), 페텔(반려동물 동반 숙박 예약 서비스), 프랜딧(맛집 정보 공유를 기반으로 한 지역관광 중심의 여행서비스), 메이킹래빗(외국인 관광객 부가세 즉시 환급 플랫폼), FAMO(우리 가족 액티비티
메타버스 창작 플랫폼 레드브릭이 3D 메타버스 창작대회 ‘레드브릭 월드 챌린지’ 시즌2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월드 챌린지는 자사의 소프트웨어 창작 툴인 레드브릭 메타버스 스튜디오를 통해 3D 월드(MAP)를 제작하는 공모전으로, 레드브릭이 실력 있는 메타버스 크리에이터를 발굴하고자 지난 1분기 처음으로 진행했다. 레드브릭 메타버스 스튜디오는 일반인도 3D 소프트웨어를 창작할 수 있도록 개발된 툴로, 누구나 3D 아티스트가 되어 메타버스 창작 활동이 가능하다. 지난 1월 28일부터 2월 24일까지 개최된 ‘월드 챌린지’ 시즌오프는 청소년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모를 받았고, NFT 크리에이터를 꿈꾸는 대학생 및 디지털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양질의 3D 창작품이 다수 출품됐다. 시즌1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 레드브릭은 크리에이터의 콘텐츠 가치 창출을 위해 지속적으로 챌린지를 개최할 예정이다. 2회 차를 맞은 이번 챌린지는 ‘타임어택’을 주제로 미니게임 제작이 가능한 게임 맵을 만드는 미션을 수행해야 한다. 타임어택은 특정 코스를 최단시간에 클리어하는 레이싱 게임 모드 중 하나다. 챌린지 응모를 위해서는 도착 지점까지 각종 장애물을 적재적소에 배치해야 하며,
credit : 뤼튼테크놀로지스 인공지능 기반 작문 보조 도구 '뤼튼(wrtn)'을 개발한 뤼튼테크놀로지스가 중소벤처기업부 주관 기술 창업 투자 프로그램 팁스(TIPS)에 선정됐다고 15일 밝혔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글쓰기 능력의 하락으로 인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AI와 사람이 함께 글을 작성하는 AI 작문 보조 솔루션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자연어처리(NLP) 기술과 초거대 AI(Foundation Model)를 기반으로 한 AI Writing Assistant 뤼튼(wrtn)을 개발하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스는 8년 이상 Z세대 글쓰기 교육을 진행한 글쓰기 전문가와 카이스트, 연세대, 성균관대 석/박사 출신 AI 엔지니어들이 모인 스타트업으로 기술력과 사업성을 인정받아 이번 2022년 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었다. 2021년 4월 설립된 이래로 △매쉬업엔젤스 엔젤 투자 유치 △연세대학교 예비창업패키지 선정 △도전! K-스타트업 2021 최우수상 수상 △삼성전자 C-Lab Outside 선정에 이어 이번 TIPS 프로그램에 선정되며 7억 원의 기술 개발 자금을 추가로 확보하였다. 뤼튼테크놀로지스 이세영 대표는 “팁스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술 고도화에
사진 : 배달 로봇 뉴비 라스트마일 로봇 배달 플랫폼 뉴빌리티의 도심형 배달 로봇 ‘뉴비’가 세계적인 디자인 상인 ‘iF 디자인 어워드 2022(International Forum Design Award 2022)’에 ‘제품 부문’ 수상작으로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배달 로봇 ‘뉴비’는 도심에서 안정적인 자율주행 배달 서비스에 있어 처음부터 ‘인간과 로봇 간 상호작용(Human-Robot Interaction)’ 측면을 중심에 두고 설계되었다. 이번 수상으로 뛰어난 자율주행 성능뿐 아니라 디자인 우수성까지 인정받았다는 평가다. ‘뉴비’에는 △음식을 배달하는 로봇임을 직관적으로 드러내는 케이크 상자 형태, △다양한 표정이나 로봇 상태를 나타내는 두 개의 눈 모양 LED 점멸등 △야간 주행 시 로봇 식별을 돕는 동시에 디자인 핵심 역할을 하는 허리띠 모양의 주행 등 등을 탑재해 기존 서빙 로봇 혹은 배달 로봇 분야에서는 새로운 시도라는 평가를 받아 왔다. 이상민 뉴빌리티 대표이사는 “뉴비는 사용자들에게 지금까지 없었던 비대면 로봇 배달 경험을 제공하고, 서울과 같은 복잡한 도심에서 주행 중 매일 수많은 보행자와 마주치게 된다”라며 “개발 초기부터 단순히 배달
KITEE holding the 18th event of our Igniting Entrepreneurship Series on April 22nd Wednesday, 7:30 pm - 9:30 pm. This April gathering, especially, will be held as a Webinar event amid the COVID-19 pandemic, and will discuss the effective way of raising funds at an early stage of startups inviting Dr. Tae Heum Jeong, Managing Partner of KSV Global Innovations & KITEE Board member. KITEE will also present the recent and upcoming KITEE activities and prepare members for the activities to maximize the benefits to KITEE members. At the end of the online event, they will also have the opportunit
뉴저지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Palisades Park Chamber of Commerce)는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을 후원하기 위한 모임인 '팰리세이즈 모임'을 11일(미 동부 시간) 설립하였다고 밝혔다. 팰리세이즈 모임은 킥스타터나 인디고고등의 미국의 크라우드 펀딩 사이트에서 모금 캠페인을 진행하는 한국 스타트업들을 후원하는 온라인 오프라인 모임으로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 300여 회원들이 주축이 설립되었다. 팰리세이즈 모임은 온라인으로 킥스타터 포럼, 인디고고 포럼을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 어플 안에 커뮤니티로 운영될 예정이며 오프라인 후원은 세계에서 최초로 캠페인별 오프라인 모임을 열어 지원할 예정이다. 킥스타터나 인디고고등의 모금 캠페인의 성공은 목표 금액에 따른 후원자들의 후원에 좌우되지만, 대략 300여 명의 후원자들을 모을 수 있으면 캠페인은 성공할 가능성이 아주 높은 편이다.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의 300여 명 회원들의 후원은 성공적인 모금 캠페인을 마감할 수 있는 커다란 도움이될 것으로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 측은 기대하고 있다. 팰리세이즈 파크 상공회의소 토마스 박( 한국 이름 박병찬) 회장은 "그동안 수많은 한인단체
KITEE will be heldKITEE / KSEA NRCIdea Pitch Competition on May 2rd (Thurday), 6:30 pm - 10:00 pm, atLG Electronics, 920 Sylvan Avenue, Englewood Cliffs, NJ. This competition aims to promote entrepreneurship of Korean-American scientists, engineers, and students studying engineering and science and encourage them to pursue building a promising startup. In the competition, 4~6 teams that passed the pre-screening round will compete to win one of the three cash awards The first prize winner will also receive continuous assistance, upon requests, from KITEE Angel Committee in various areas includ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