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국대학교 창업한마당 행사 현장 건국대는 중소벤처기업부(장관 홍종학)가 주관하는 ‘2018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이로써 건국대는 2014년 첫 선정 이래 올해로 5년 연속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됐다.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은 우수한 창업 지원 인프라를 갖춘 전국의 43개 대학을 창업선도대학으로 지정해 대학과 지역의 청년 및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창업 교육, 창업 아이템 발굴, 사업화 자금지원 등 종합적으로 창업 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건국대가 이번 선정으로 받게 된 정부 지원금은 5년간 총 92억원이다. 선도대학으로 지정된 대학들은 소속 대학 구성원뿐만 아니라 지역 내 기관과 협업을 통해 창업 지원에 관한 지역 거점 대학으로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건국대는 2014년 처음 창업선도대학으로 선정된 이후 매년 청소년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창업 캠프를 개최하고 있다. 또 창업 동아리 발굴 및 지원, 대학생 창업 교과목 개설, 창업 기업 인턴십 운영, 창업 장학금 지급 등 대학생들의 창업 마인드 제고와 창업 활동 지원을 위한 교내 창업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재학생 창업자 수가 2015년에 4명에서 작년
								세계 최초의 AdHive AI-제어형 인플루언서 마케팅 플랫폼 탈린, 에스토니아--(뉴스와이어) 2018년 03월 27일: 인플루언서를 위한 AI-구동 플랫폼인 AdHive가 공개 토큰세일에 앞서 $12M 하드 캡을 성공적으로 마감했다고 발표했다. AI-자동화와 블록체인 기반의 고유한 광고에 대한 회사의 혁신적인 접근방식은 사전 세일과 토큰세일 1단계를 통해 총 5839명의 토큰 구매자들을 유도했다. AdHive의 공동 설립자 Dmitry Malyanov는 “세계 인플루언서 시장은 광고 산업을 위한 표준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재편성되고 있지만 혁신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기술을 실행함에 있어 가장 느린 분야로 남아있다. 우리가 달성한 토큰세일의 목표는 이제 합법적이며 우리 커뮤니티는 AdHive의 커다란 발전을 진정으로 확신하고 있다. 이것이 이 산업 분야의 혁명을 일으키기에 가장 적합한 프로젝트가 될 것을 믿다”고 말했다. 이 프로젝트의 토큰 사전세일은 커뮤니티의 획기적인 관심을 보여 주었으며, AdHive는 모든 사람들이 안전을 확신할 수 있도록 화이트리스트에 등록된 맴버들에게 토큰세일이 시작되기 3일 전에 예약 시스템을 소개했다. AdHive의 의도는 잠재적
								데이타솔루션이 출시한 상담 사용자 맞춤형 챗봇 ‘DAIB’를 이용하여 카드 연회비를 비교하고 있는 서비스 화면 데이터 통합 솔루션 전문기업 ㈜데이타솔루션(대표이사 배복태)이 인공지능 기반의 고객 응대 챗봇 DAIB(Datasoluiton’s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를 출시했다고 26일 밝혔다. 기업은 챗봇을 통해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효율화할 수 있으며 반복되는 단순한 질의에 피로감을 호소하던 상담원들의 업무 부담도 줄일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인공지능 시대에 중요한 기업 내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확보하고 이를 분석하여 인사이트를 도출할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지능 고객 응대 챗봇 DAIB(이하 데이브)는 데이타솔루션의 고도화된 언어 처리 기술과 인공지능 기반의 빅데이터 기술을 기반으로 개발한 고객 응대 솔루션이다. 상담원과의 대화와 유사한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질문의 맥락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었으며 이전 대화의 흐름을 인지하여 대응함으로써 대화를 끊김 없이 지속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데이타솔루션은 다양한 산업군에서 기업이 보유한 대량의 지식 데이터를 구조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 효율적으로 데이브를 도입할
								@http://www.probiz.kr/ 전시·박람회 전문 기업인 프로비즈가 블록체인 기술과 마이스산업 비즈니스 모델을 결합해 온·오프라인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 ‘마이스(MICE)’를 선보인다고 22일 밝혔다. 마이스는 기업회의(Meeting), 포상관광(Incentive trip), 컨벤션(Convention), 전시박람회와 이벤트(Exhibition&Event) 등의 영문 앞 글자를 딴 말이다. 좁은 의미에서 국제회의와 전시회를 주축으로 한 유망 산업을 뜻하며, 광의적 개념으로 참여자 중심의 보상관광과 메가 이벤트 등을 포함한 융·복합산업을 뜻한다. ‘마이스’는 블록체인, 이더리움 기반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act)’을 구현할 계획이다. 기존 비트코인, 블록체인이 절반 이상의 참여자에게 동의를 받아야만 거래가 이뤄지는 것과 달리, 일정 조건이 충족되면 바로 거래가 이뤄지고 이 내용이 참여자들에게 분산 저장된 장부에 기록되는 방식이다. 또한 마이스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활용 체계를 구축해 전 세계 어디에서나 환율 등에 구애받지 않고 전시·박람회 입장권 및 참가업체와의 ‘스마트 계약(Smart Contact)’ 등을 활용할 수 있다. 거래
								차지비 창립자들 (photo : Business wire via Korea Newswire) 샌프란시스코/첸나이, 인도--(Business Wire/뉴스와이어) 2018년 03월 21일 --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가입 관리 및 정기 청구 관리 솔루션 기업 차지비(Chargebee)가 뉴욕에 기반을 둔 인사이트 벤처 파트너스(Insight Venture Partners)가 주도하는 1800만달러의 사업확장자금을 확보했다. 예전 투자자인 액셀 파트너스(Accel Partners)와 타이거 글로벌 매니지먼트(Tiger Global Management)도 시리즈 C 투자에 참여했다. 이 펀딩을 통해 조달된 총 투자금은 2470만달러에 달한다. 이 자금은 새로운 시장과 분야로 적극 확장해나가기 위한 제품 연구 개발, 영업, 마케팅 및 성장을 위해 보다 큰 규모로 투자될 예정이다. 차지비는 결제 게이트웨이에 구속 받지 않는 가입 청구 솔루션을 제공하여 스트라이프(Stripe), 브레인트리(Braintree), 페이팔(PayPal), 애드옌(Adyen)을 비롯한 다수 게이트웨이의 단점을 보완한다. 차지비는 SaaS, 디지털 미디어, 전자상거래, 사물인터넷 등 다
								오타와, 온타리오--(Business Wire/뉴스와이어) 2018년 03월 21일 --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멀티채널 커머스 플랫폼 쇼피파이(Shopify Inc.)(뉴욕증권거래소: SHOP)(TSX: SHOP)가 인스타그램과의 기능 결합 확대를 20일 발표했다. 기업들이 자사 제품을 인스타그램 포스팅에 태그할 수 있도록 하는 ‘인스타그램 쇼핑(shopping on Instagram)’ 기능은 이제 영국, 호주, 캐나다,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브라질 등 8개 시장에서 가능하게 되었다. 이번의 전략적 시장 확대는 쇼피파이 회원사들이 전세계 인스타그램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모바일 기기 상에서 사진을 올리고 서로 교환도 할 수 있는 인스타그램 앱은 패션, 주얼리, 뷰티, 가구, 실내장식용품 등 분야의 수십만에 달하는 쇼피파이 가맹 회원사들이 고객 저변을 급속히 확대할 수 있는 최고의 수단이다. 쇼피파이의 미국 내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했던 과거 서비스 출범의 성공에 이어서 이번의 서비스 확대 또한 전세계 소비자들이 인스타그램 상의 이 독특한 커머스 기능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가맹
								한미약품그룹의 한미메디케어(대표이사 임종훈)가 생생한 모바일 비디오 프레젠테이션 영상 제작 툴인 ‘브이키니 비즈앱(VKinny Biz)’을 선보인다고 20일 밝혔다. 한미메디케어 사내벤처인 브이캠프(V.CAMP) 팀에서 제작한 이 앱은 휴대폰에 저장한 각종 문서, 영상, PDF 등을 불러온 뒤 촬영자의 얼굴과 음성, 하이라이터 펜·줌·메모 기능 등을 활용해 하나의 화면에서 곧바로 영상을 만들 수 있는 최신 툴이다. 제작에 사용되는 화면 영상 녹화 기술은 특허청으로부터 콘텐츠 생성 방법 및 장치에 관한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4-0046293)을 완료했다. 기존 비디오 앱이 제공하는 기능 외에 영상 송수신·실시간 댓글 달기·외부 URL 보내기·알림서비스 등 다양한 기능이 추가돼 온라인 교육 트레이닝, 업무 프레젠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브이키니 비즈앱은 AWS(아마존웹서비스) 기반 Cloud 공간이 제공돼 별도의 데이터 및 시간 소모 없이 안정적으로 영상을 주고 받을 수 있으며 기업별 용량 및 기능 구성을 달리한 맞춤형 옵션도 제공하고 있다. 제작된 영상은 실시간으로 고객사 및 사내 임직원들에게 전송할 수 있다.
								건국대 학생 창업 기업인 투어테크 스타트업 주식회사 ‘라이크어로컬’이 판교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열린 ‘2018년 글로벌 모바일 인터넷 개발자대회(MIC) 한국 예선전’에서 우승을 차지했다고 20일 밝혔다. 중국 최대의 벤처캐피탈 IDG China가 주최하는 글로벌 모바일 인터넷 개발자대회는 7개국(중국, 노르웨이, 핀란드, 미국 실리콘밸리, 한국, 홍콩, 마카오)에서 예선전을 치뤄 2팀의 유망 스타트업 기업을 선발해 6월 중국 광저우에서 결승전을 치른다. 라이크어로컬이 서비스하는 韩国问我(한국원워)는 방한 중화권 여행객이 질문하고 한국 현지인이 답변하는 ‘한국여행 질문답변’ 플랫폼이다. 매월 중국, 대만, 홍콩 등에서 한국으로 여행오는 2만명 이상의 자유여행객이 사용하는 서비스다. 라이크어로컬 현성준 대표(국제무역학과 11)는 “이번 대회는 중국 투자 유치를 위한 정말 좋은 기회다”며 “중국 투자를 유치하여 방한 중국인 여행객이 호텔, 항공, 액티비티 등 여행 전반에 걸쳐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로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2018 MIC 한국 예선전’에는 ‘라이크어로컬’ 외 △M.I.J △P2J △FAKE EYES CO,Ltd △Vandalsoft △Spor
								런던--(뉴스와이어) 2018년 03월 20일: 런던의 핀테크 스타트업 휴매닉(Humaniq)이 자사의 2.0 버전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최초로 하이브리드 블록체인을 구축하는 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휴매닉은 프로토타입이나 베타테스트 단계에 있는 프로젝트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작동하는 최초의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프로젝트라는 기술 성과를 이뤄냈다. 휴매닉은 ERC20 프로젝트의 확장성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였다.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은 이더리움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며, 우간다, 세네갈, 짐바브웨, 탄자니아와 르완다와 같은 개별 아프리카 국가들에서 독창적인 사이드체인 솔루션이 결합하였다. 이제까지 휴매닉의 모든 코인 거래는 이더리움 메인넷을 통해 이루어졌다. 2018년 3월 15일까지 이더리움 메인넷의 거래 담보금은 현재 약 84.85달러에 제공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애플리케이션이 확장되고 개발도상국이 21세기 경제에 편입하는데 걸림돌이 된다. * 2017년 이더리움의 발행 비율은 14.75%였다. 대략적으로 블록 당 5개의 이더리움이 발행된 것이다. 이더리움은 엉클(Unkle)블록을 보상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5개보다 보다 클거나 작을 수 있기 때문이다. 2
필자는 지난 2019년, 2022년, 2024년에 이어 2025년도 노동법 포스터를 직접 제작해 한인 고용주들에게 무료로 배포한다. 이번 배포는 지난해처럼 온라인으로만 배포한다. 지금까지 한인 보험회사들이 주류 포스터 업체에서 노동법 포스터를 구입해 고용주들에게 배포하던 방식과 달리 또다시 포스터를 직접 제작했다. 즉, 이 포스터의 특징은 노동법 전문변호사가 노동법 주요 조항들을 노동청, EDD, 상해 보험국 등 여러 정부기관 사이트들에서 직접 찾아서 선정했고 연관된 노동법 항목들을 함께 배치해 보기 쉬운 맞춤형 포스터라는 점이다. 올해 제작된 포스터들은 지난해처럼 가로 26인치, 세로 39인치의 풀 컬러 대형 영어 포스터 버전과 가로 13인치, 세로 18 인치의 소형 영어, 한국어, 스패니시 버전 등 모두 4가지 pdf 파일들이다. 만일 종업원의 10퍼센트 이상이 영어가 아닌 외국어를 구사할 경우 영어 외에 이들 언어로 된 포스터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로 제작했고 많은 한인 고용주들이 한국어나 스패니시 포스터를 부탁해서 이렇게 추가로 제작하게 됐다. 대형 영어 포스터는 이전처럼 캘리포니아주, LA시 최저임금, 직장 상해, 유급병가 등 모두 17개의 포
							
							
	    전미반려동물산업협회(APPA)에 따르면 코로나 팬데믹 이후 반려견을 키우는 가구가 크게 늘어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6,510만 가구에 달할 정도였다. 관련 산업군도 성장세를 거듭하고 있어서 반려동물 관련 산업은 2023년에는 1,436억 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됐다. 그렇기 때문에 직장에 반려동물과 함께 출근하고 싶어 하거나 출근해야 하는 직원들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이에 대한 캘리포니아주 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직원들이 직장에 동반할 수 있는 동물의 종류는 서비스 동물과 정서지원 (emotional support) 동물 두 가지가 있다. 서비스 동물은 장애인들을 위한 동물이고 정서지원 동물은 소유한 사람의 심리치료 계획의 일부로서 자격증을 가진 전문가가 처방하는 동물로 예를 들어 우울증, 불안감, 공포증, 심각한 외로움 등이 있을 때 처방받을 수 있다. 어떤 사무실 건물은 동물의 출입을 금지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고용주들은 직원의 요구와 건물주 측의 규칙 사이에서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반려동물을 거부하는 사내 방침이 있는 지도 고려해야 한다. 만일 그런 방침이 있지만, 직원이 예를 들어 시력이나 청력과 관련된 장애가 있어서 서비스 동물이
							
							
	    최근 들어 직원들에게 문서로 된 경고문을 주는 한인 고용주들이 급증하고 있다. 특히 각종 노동법 소송에서 구두 경고문이 소용이 없다고 느낀 한인 업주 들은 경고문에 어떤 내용을 넣을지 궁금해한다. 경고문의 목적은 직원들의 행동이 적절하지 않았고 변화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직원이 이해하게 만드는 데 있다. 첫째, 징계는 보통 받는 직원이 반기지 않기 때문에 문서로 남겨야 하고 둘째, 경고문에 있는 내용이 나중에 법적 절차에서 고용주에게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경고문 은 필요하다. 단순히 구두 경고에 의존하면 사람의 기억력은 한계가 있어서 경고를 준 사실을 제대로 증명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다음과 같은 내용들이 경고문에 포함되어야 한다. (1) 직원에 대한 정보 (이름, 경고 날짜, 슈퍼바이저 이름) (2) 직원의 위반 유형 (예: 언어, 명령 불복종 등) (3) 직원의 자세한 위반 사항: 발생 날짜, 시간, 장소 (4) 직원의 슈퍼바이저나 고용주의 위반 사항 발생 명시 (5) 직원의 위반 사항 발생에 대한 명시 (6) 위반 사항에 대한 징계: 예를 들어 임금 삭감, 강등, 정직, 경찰 신고 (7) 이전 경고 사항: 이전 경고문을 준 날짜와 형태 (8)
							
							
	    한인 고용주들이 간과하는 직원들의 권리들 중 하나가 프라이버시다. 캘리포니아주에서 중요한 직원들의 프라이버시 권리들은 다름과 같다. 1) 비디오카메라는 업무를 수행하는 장소로 제한되고 비디오로 녹화되고 있다는 장소와 기간을 직원들에게 밝혀 야 한다. (2) 고용주는 인터넷에 올린 직원의 소셜 미디어 포스팅들을 보기 위해 직원에 게 로그인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달라고 강요할 수 없다. (3) 직장 내 전화내용을 모니터 랑하는 것이 녹화 방송이나 비핑 시그널로 공개할 경우에만 모니터가 가능하다. (4) 직 장내 연애는 매니저들 사이나 평직원들 사이로 제한할 수 있지만 근무시간 중이 아니 거나 회사밖에서 연애할 경우 프라이버시 침해가 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 (5) 직원 차의 GPS 추적은 업무 수행 도중의 움직임일 경우에만 가능하다. (6) 채용 후 마약검 사는 불법 마약 사용의 의심이 있을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 6개 프라이버시 권리 침해에 대해 각각 자세히 소개한다. (1) 직장 내 비디오 모니터링: 캘리포니아주에서 탈의실, 락커룸, 샤워룸, 화장실, 휴식실, 식당처럼 직원들이 혼자 있다고 기대하는 장소에서 비디오 모니터링은 금지되어 있다. 그리고 캘리
							
							
	    캘리포니아주에서 2025년부터 시행되는 노동법과 고용법 법안들이 고용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본다. 1. 상원 법안 SB 399 (캘리포니아 종업원의 고용주 위협으로부터의 자유법 (California Worker Freedom from Employer Intimidation Act)): 이 법안은 종교나 정치적 성향에 근거한 강제적인 직장 내 회의를 금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법안은 고용주가 주최한 회의를 통해 직원으로 하여금 종교적 또는 정치 적 문제에 대한 회사의 입장을 듣도록 강요할 수 없게 된다. 즉, 회사는 직원이 위와 같은 회의에 참석을 거부하거나 이러한 대화에 참여하기를 거부한다고 해서 해고 등 불리한 인사 조치를 취할 수 없다. “정치적 문제”에는 정치, 선거, 정당, 법률, 규제, 노동 단체 가입 등이 포함되어 있고, “종교적 문제”에는 종교 소속, 종교 신념의 실천, 종교 단체 가입 등이 포함된다. SB 399는 직원들은 회사가 이런 미팅에 참석할 것을 강력히 권장하더라도 보복에 대한 두려움 없이 참석을 거부할 권리를 가지게 된다. 이 법안에 의거해서 고용주들은 매니 저들이 필요한 교육을 받도록 해야 한다. 2.
							
							
	    
				글로벌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과 스파크랩사우디가 사우디아라비아 통신정보기술부(MCIT)와 공동으로 '테크 파운더 인 코리아 2025(Tech Founder in Korea)' 프로그램을 12월 12일까지 운영한다. 이 프로그램은 사우디 통신정보기술부가 자국 스타트업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으로, 영국, 싱가포르에 이어 한국에서 세 번째로 진행된다. 사우디 정부가 직접 선정한 유망 기술 스타트업 20개 사가 참가해 6주간 한국의 첨단 기술 인프라와 아시아 진출 전략을 모색한다. 공동 주최사인 스파크랩은 ▲국내 주요 대기업 및 기관 탐방 ▲투자사 및 대기업 간 전략적 밋업 ▲맞춤형 멘토링 등 심층 육성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또한, 사우디 스타트업의 투자 유치 연계 및 파트너십 구축을 위한 비공개 데모데이도 12월 8일에 진행될 예정이다. 스파크랩은 지난해부터 사우디 정부 기관과 협력하여 현지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및 **한국 스타트업의 중동 진출을 지원해왔다. 현재 사우디 정부 출자금 5,000만 달러(약 670억 원) 규모의 'AIM AI' 펀드를 운용 중이며, AI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프로그램 'AIM-X'도 운영하고 있다. 김유진 스파크랩 대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회장 전화성)는 대한민국 초기창업투자 및 창업지원 생태계의 발전에 기여한 개인과 단체를 발굴·포상하기 위해 ‘2025년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 산업 활성화 유공 포상’ 신청을 오는 11월 17일(월) 17시까지 접수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포상은 민간 중심의 창업투자 및 보육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한 투자자와 액셀러레이터를 격려하고, 업계 종사자의 사기진작과 자긍심을 고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올해는 △우수 액셀러레이터(민간형) △우수 액셀러레이터(공공형) △우수 초기 스타트업 투자기관(VC·CVC 등) △초기 스타트업 투자자 공로(개인) 등 4개 부문,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표창 총 6점이 수여된다. 시상식은 12월 18일(목) 개최되는 ‘2025 스타트업 빌더스 어워즈’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협회는 포상의 공정성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 대중 선호도 투표(30%)와 정부·학계·협회 전문가로 구성된 심사위원단 평가(70%)를 종합해 수상자를 선정할 계획이다. 평가 항목에는 투자 및 보육 실적, 회수성과, 산업 기여도, 윤리경영 등이 포함된다. 협회 관계자는 “초기 단계 스타트업을 발굴·육성하며 생태계의 기
				프롬프트 가이드 인공지능과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은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끄는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이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해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거나, 처음부터 시도조차 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이에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대표이사 이해정, 이하 강원혁신센터)는 지역 창업자들이 AI를 보다 쉽게 이해하고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AI 프롬프트 가이드 & 빌더」를 공식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 프로젝트는 인공지능 전환(AX, AI Transformation) 시대에 맞춰, 누구나 손쉽게 AI를 업무와 창업 과정에 적용할 수 있도록 보조하기 위해 추진됐다. 이번에 공개된 AI 프롬프트 가이드는 기업과 창업자가 실제 업무 현장에서 ChatGPT, Gemini 등 다양한 AI 도구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지침서다. 업종별·상황별로 쉽게 복사하고 편집해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분야의 프롬프트 예시가 담겨 있다. 함께 공개된 AI 프롬프트 빌더는 입력 목적(예: 제품 또는 서비스 소개, SNS 홍보글, 보도자료 작성 등)을 선택하면 최적화된 문장 구조와 명령어를 제시해 주는 형태로 구
				한국 최초 러닝 여행 전문 플랫폼 스타트업 ‘클투(CR8TOUR)’를 운영하는 문카데미(공동대표 문현우, 김경록)가 ‘2026년 글로벌 런투어 3종 시리즈’를 공개하고 참가자 모집에 나섰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시리즈는 ▲파리 마라톤 ▲로마 마라톤 ▲시드니 마라톤을 중심으로 기획된 프리미엄 런투어로, ‘러닝과 여행의 결합’이라는 클투만의 새로운 여행 문화를 반영한 기획이다. 특히 파리 마라톤은 클투가 국내 단독으로 판매하는 공식 런투어 상품이며, 시드니 마라톤은 오세아니아를 대표하는 대회로, 2025년 ‘세계 7대 메이저 마라톤’에 새롭게 이름을 올리며 전 세계 러너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먼저 ‘2026 파리 런투어’는 4월 10일부터 16일까지 5박 7일 일정으로 진행된다. 개선문에서 출발해 에펠탑을 향해 달리는 낭만적인 도심 코스로, 세느강과 샹젤리제 거리 등 파리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를 지난다. 3년째 이어지고 있는 클투의 스테디셀러 프로그램으로, 러닝의 성취와 파리 특유의 감성을 동시에 경험할 수 있다. ‘2026 로마 런투어’는 3월 19일부터 25일까지 열린다. 콜로세움과 바티칸 등 고대 로마 유적지를 잇는 클래식한 코스를 따라 달리는 대회로,
				AI 기반 프리미엄 짐 보관 및 물류 자동화 혁신 스타트업 노블로지스가 액셀러레이터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의 추천을 통해 민간투자주도형 기술창업 지원 프로그램 ‘팁스’에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노블로지스는 앞서 2025년 6월 해당 기관으로부터 프리 A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이 회사는 ‘믿고 맡기는 짐 보관 서비스’를 모토로, 수도권 전역에 10개 직영 창고를 운영 중이다. 주력 서비스인 ‘노블스토리지’를 통해 B2C 시장에서 빠르게 입지를 넓혀왔다. 계약부터 견적, 포장, 운반, 입출고까지 전 과정을 100% 비대면으로 제공하는 프리미엄 보관 서비스로, 리모델링 공사 또는 이사 입주 날짜가 안 맞거나, 해외 주재원으로 짐을 보관해야 할 다양한 상황에서 고객 맞춤형 보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팁스 선정에 따라 노블로지스는 향후 2년간 연구개발(R&D) 자금 5억 원과 해외 마케팅 및 창업 사업화 자금 2억 원을 포함해 최대 7억 원 규모의 정부 지원을 받게 된다. 이를 바탕으로 AI 기반 물류 자동화 시스템 고도화 및 글로벌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팁스 과제를 통해 노블로지스는 ‘AI 기반 물류 적재 예측 및 견적 자동화 통합 시
				VICEVERSA(바이스벌사)가 중소벤처기업부 주최 ‘글로벌 초격차 테크컨퍼런스(AX for ALL)’**에서 AI 패션 플랫폼 'VIIMstudio(빔스튜디오)'를 선보이며 큰 관심을 받았다. VIIMstudio는 사진 한 장으로 10초 만에 AI 룩북을 완성하는 혁신 기술을 시연했다. 이 플랫폼은 관람객의 얼굴 사진 기반으로 의상을 스타일링하고, 모델 얼굴을 사용자 얼굴로 교체하는 페이스스왑(FaceSwap) 기능을 현장에서 공개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이끌어냈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도 현장을 방문해 VIIMstudio를 직접 체험하며 그 실용성에 감탄을 표했다. 이는 VIIMstudio가 단순한 이미지 생성 툴을 넘어, 패션 산업의 촬영 비용 및 제작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하는 실용적 AI 기술임을 입증한 것이다. 현재 VIIMstudio는 코오롱, MCM 등 글로벌 브랜드뿐만 아니라 홍익대, 국민대 등 국내 주요 패션학과에서 AI 기반 창작 및 교육 플랫폼으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홍익대 패션위크에서는 AI 디자인 영상 콘텐츠를 공개하며 기술과 창의성이 결합된 새로운 패션 표현 방식을 제시했다. VICEVERSA는 이번 시연을 계기로 AI가 패션 비주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