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 기반 시선 추적 기술 기업 비주얼캠프가 캐시백 앱 ‘캐시’를 론칭한다고 18일 밝혔다. 캐시 론칭으로 비주얼캠프는 시선 추적 기술을 미국 이커머스 시장으로 확장하는 첫발을 내딛게 된다. 캐시 앱은 비주얼캠프의 시선 추적 알고리즘의 기반이 되는 상품 추천 스템에 게임을 접목해 이용자들이 캐시백 포인트를 쌓으면서 즐거운 온라인 쇼핑 경험을 누릴 수 있게 해 준다. 특징은 ‘시선 추적 기술 기반의 개인화된 상품 추천 시스템’이다. 기존 상품 추천 시스템에 시선 추적 기술이 더해져 △시선 데이터 분석을 통한 구매 전환율 상승 △기존 추천 시스템 대비 추천 성능 향상 △시선 데이터-기존 데이터 융합을 통한 CRM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회사 측은 밝혔다. 캐시 앱은 일상생활 지출을 줄이려는 밀레니얼 세대를 타깃으로 만들었다. 1만 2000여 개 브랜드에 대해 캐시백을 제공한다. 이용자들은 앱에서 제공하는 상품 가격 맞추기 게임(Guess it) 등 다양한 게임을 통해 캐시백을 적립할 수 있다. 비주얼캠프 석윤찬 대표는 “캐시는 재밌는 게임을 하며 돈을 벌 수 있게 해 줄 뿐 아니라, 시선 추적 기술을 적용한 혁신적인 추천 시스템을 경험하도록 해준
인공지능 기업 스켈터랩스가 자사의 ‘AIQ 챗봇’ 솔루션의 공급 범위를 SMB(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시장까지 확대하면서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의 강력한 비즈니스 파트너로 나선다고 17일 밝혔다. 스켈터랩스가 자체 개발한 AIQ(AI with Quality) 챗봇은 업계 최고 수준의 ‘의도 파악률’을 자랑하는 대화형 AI 솔루션이다. 이미 롯데홈쇼핑, 퍼시스, 위대한상상(요기요) 등 굴지의 엔터프라이즈 기업들이 채택할 만큼 뛰어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퍼시스 등의 기업은 AIQ 챗봇을 도입한 후 고객 문의수가 대폭 증가하는 등의 실질적인 성과를 낸 바 있다. 대부분의 중소기업 및 초기 스타트업, 자영업자의 경우 경제적 여건 및 기술 인력 구인난으로 인해 자체적인 챗봇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나, 이번에 스켈터랩스가 SMB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면서 중소규모 기업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높은 수준의 챗봇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스켈터랩스의 AIQ 챗봇은 크게 다섯 가지의 특화된 강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스켈터랩스의 챗봇 기획 전문가가 고객사의 요구사항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챗봇 시나리오를 직접 기획하고
메타버스 플랫폼 및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애니펜이 170억 원 규모의 시리즈 B 투자 유치를 마무리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전보다 2.5배 이상의 기업 가치를 인정받은 이번 투자를 통해 현재 개발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 구축 및 기술 확장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또한, 대신증권을 주관사로 선정하여 IPO를 준비하고 있다. 애니펜은 증강현실 및 XPS(eXtended Positioning System) 기술과 메타버스가 융합된 문화재 메타버스, 멀티 IP 대응이 가능한 커머스 및 커뮤니케이션 기반 메타버스 등으로 주목받았으며, 한국평가데이터가 진행한 투자용 기술신용평가(TCB)에서 ‘실감형 콘텐츠 제작 및 메타버스 플랫폼 개발 기술’로 최상위 등급인 '매우 우수(TI-2)'를 획득하며 탄탄한 기술력을 증명했다. 올해 시리즈 B 투자 라운드에는 한국산업은행, 대신증권, ATU파트너스, 네오밸류 등 신규 투자자와 얼머스인베스트먼트, 메디치인베스트먼트 등 기존 투자자가 참여했으며, 2021년부터 2022년까지 누적 투자액 약 300억 원 규모를 달성했다. 애니펜의 주요 사업으로는, 문화재 메타버스 (AR, XPS 기술과 메타버스가 융합된 문화재 콘텐츠 앱), 멀티 I
AI 기반 디지털 옷장 플랫폼 ‘에이클로젯’의 개발사 룩코가 LG CNS 스타트업 몬스터 프로그램 5기로 최종 선정됐다고 14일 밝혔다. LG CNS가 주관·지원하는 ‘스타트업 몬스터’는 선진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 전략적 파트너로 육성하는 프로그램이다. 룩코의 고해신 대표는 “당사는 21년 2월 ‘에이클로젯’ 서비스 정식 출시 18개월 만에 마케팅 비용 지출 없이 글로벌 유저 100만 명을 확보한 알짜 스타트업”이라며 “당사가 보유한 개인 패션 데이터는 LG CNS의 ‘마이데이터’와의 협업을 통해 높은 시너지를 낼 것으로 평가받은 것이 45:1의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비결”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룩코는 △1억 원 상당의 개발 지원금 △LG CNS 및 계열사들과 각종 사업 협업 기회 △기술/사업 멘토링 등 다양한 혜택을 제공받을 예정이다. 룩코는 향후, LG CNS가 운영하고 있는 마이데이터 플랫폼인 “하루조각” 이 보유한 개개인의 금융, 콘텐츠 데이터 등에 패션 데이터를 통합하여 개인의 취향과 일상, 소비 패턴까지 고려한 맞춤형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의 협업 전략을 모색할 계획이다. 에이클로젯은 오랫동안 아날로그 데이터로 남아있던 개인 의
메타버스 플랫폼 및 기반 기술을 개발하는 애니펜(대표 전재웅)은 부즈클럽(대표 김유경)과 메타버스 구축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애니펜이 개발하는 메타버스에서 부즈클럽의 모든 캐릭터를 만날 수 있게 된다. 특히, 캐니멀의 새로운 시즌은 메타버스형 세계관과 콘셉트로 기획 단계부터 준비된 캐릭터로서 애니펜이 개발 중인 메타버스 플랫폼과 시너지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애니펜은, 문화재 메타버스 (AR, XPS 기술과 메타버스가 융합된 문화재 콘텐츠 앱), 멀티 IP 대응이 가능한 커머스 및 커뮤니케이션 기반 메타버스 (XR 커머스 및 커뮤니케이션 기반의 메타버스 플랫폼) 등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부즈클럽은, 캐니멀(CANIMALS), 아둥가(ADOONGA) 캐릭터를 제작했다. 전재웅 애니펜 대표는 “증강현실, 확장 현실, 인공지능 등 애니펜의 기술로 개발하고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과 부즈클럽이 긍정적인 효과를 주고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22 Y Combinator 진출 지원 프로그램 ‘Y콤비네이터 익스프레스’가 데모데이를 끝으로 성황리에 종료됐다고 13일 밝혔다. 서울창조경제혁신센터는 2021년 프로그램을 시작해 올해 본격적으로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Y Combinator(와이콤비네이터, 이하 YC)에 도전할 스타트업을 발굴해 집중적으로 육성했다. Y콤비네이터 익스프레스는 두 차례의 심사를 거쳐 최종 9개 팀을 선정한 뒤 △YC에 합격한 선배 스타트업 쿼타북, 미미박스, 미소, 센드버드, 마스오토와의 멘토링·특강 제공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 스파크랩, 프라이머사제, Mind The Bridge, 캡스톤파트너스와의 특강, 1:1 멘토링을 진행했다. 또 KIC 워싱턴과 연계해 QuickCard, Hapch Apps의 특강과 멘토링을 지원했다. 올해는 YC 2023 Winter Batch에 지원할 수 있도록 스터디 세션을 따로 운영해 지원서 작성 및 피칭 영상 제작을 지원했고, 참가팀 전원이 와이콤비네이터에 지원했다. Y콤비네이터 익스프레스 참가팀은 △이노바이드(대표 국진혁, 전세계 치과와 기공소 연결 서비스) △아고스비전(대표 박기영, 지능형 로봇의
뉴패러다임인베스트먼트는 내년도 팁스 추천 대상 예정 기업인 아트라미, 마이페어, 케이팝맵, 그레이스케일, 창의발레소예, 믐, 문카데미, 트리팜, 베텍코리아 등 9개 사가 참석한 가운데 “제2회 뉴패러다임 팁스 준비 워크샵”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초기 스타트업에게 꼭 필요한 R&D 과제개발을 지원하는 팁스 프로그램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명은 “NP.TIPs&Tips!”로 정해졌다. 지난 12일 서울 팁스타운S6(역삼동 소재)에서 열린 워크은 뉴패러다임이 22년 아기유니콘 육성 프로그램으로 직접 발굴한 초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팁스 선정과 추천 기준, 사업계획서 작성과 신청 준비 등 최신 팁스 트렌드를 분석하고 팁스에 성공한 선배기업의 성공경험을 공유하는 네트워크장으로 기획됐다. 팁스 과제 도출 노하우와 심사위원 관점의 조언, 참가기업의 소개도 함께 진행되었다. 또한, 뉴패러다임 팁스 컨소시움 3개 사와 함께 22년도 팁스 선정기업 3개사(로이어드, 아토맘코리아, 엠케이) 등이 참석해, 운영사의 노하우 전수뿐 아니라 창업기업의 팁스 성공경험을 공유하는 등 여러 유익한 정보를 얻어가는 의미 있는 자리로 만들어졌다. 박제현 뉴패러다임
아파트멘터리가 자재 브랜드 파츠(PARTS)를 론칭했다고 12일 밝혔다. 자체 브랜드(PB)로 선보이는 파츠는 수많은 시공 사례를 바탕으로 아파트멘터리의 노하우를 담아 제작한 프리미엄 자재 브랜드다. 전체 리모델링 서비스를 넘어 셀프 리모델링이나 소규모의 시공을 원하는 소비자까지 보다 폭넓은 고객층에게 브랜드 경험을 제공한다는 취지다. 파츠는 기능 및 디자인, 퀄리티 등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제품 제작을 위해 자재의 쓰임에 맞는 공간 전문가가 기획부터 제작까지 모든 단계에 참여한다. 소비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필요한 양만큼의 제품을 구매해 직접 시공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자재에 따라 아파트멘터리가 제공하는 시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파츠 론칭과 함께 처음 선보이는 제품은 인테리어 리모델링에서 가장 수요가 많은, 바닥재(원목마루, 뉴 스탠다드 마루), 타일(포세린 타일, 체커보드 타일), 벽지(천연벽지), 다운라이트(스텐다드 LED, 보울 LED, 크레이터 LED), 중문(플레인, 그로브, 마레 마일드, 매트릭스)이다. 아파트멘터리는 해당 품목들을 시작으로 라인을 점차 늘려갈 예정이다. 아파트멘터리 파츠PO 양란 리드는 “파츠는 인테리어 서비스
‘식권대장’ 등 B2E 서비스를 운영하는 벤디스는 올해 3분기 누적 700억 원의 거래액을 달성하는 등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다고 11일 밝혔다. 벤디스는 기업의 대표적인 복지 영역인 식대 지원을 모바일 서비스로 구현한 식권대장으로 주목받은 스타트업이다. 이후 임직원의 생산성이나 복지 향상을 위한 솔루션들을 식권대장 앱에 탑재하는 등 기업 복지 예산 전반으로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며 대표적인 B2E(Business to Employee, 임직원의 생산성이나 복지 향상을 위해 기업에서 도입하는 서비스들) 사업자로 거듭나고 있다. 식권대장 외에도, 복지 포인트를 네이버페이 포인트로 전환 가능하게 한 개방형 복지몰 ‘복지대장’, 배달비, 가입비, 기다림 없는 오피스 거점 배달 서비스 ‘배달대장’, 법인 후불 결제가 가능한 퀵서비스 ‘퀵대장’, 휴가 시즌 숙박권, 테마파크 입장권, 필수 전자기기 특가 상품 구성 등 직장인 특화 큐레이션 커머스 '복지몰대장' 등 기업과 임직원을 동시에 겨냥한 B2E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벤디스가 올해 3분기까지 식권대장 등으로 기업과 거래한 총금액은 700억 원에 달한다. 이는 지난해 전체 거래액과 같은 수준이다. 이번 분기에만
사진: RTE 스타트업 배틀그라운드 본선 진출권을 전달받는 ‘블라블라’ 김영종 대표 오디오 기반 커뮤니티 플랫폼 ‘블라블라’가 ‘슈퍼소닉(SuperSonic)’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최종 우승했다고 7일 밝혔다. 블라블라는 이번 우승으로 올 10월 미국 실리콘 밸리에서 열리는 ‘스타트업 배틀그라운드’ 본선 진출권을 획득해 세계 각국 스타트업과 경쟁하게 된다. 스타트업 배틀그라운드 본선은 10월 10일부터 12일까지 RTE 기술 관련 세계 최대 규모의 콘퍼런스 Agora ‘RTE2022’ 콘퍼런스의 하나로 개최된다. 슈퍼소닉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Agora가 올 7월 출범한 프로그램이다. 혁신 기술과 아이디어를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해 이들이 효율적으로 사업을 구축할 수 있도록 아고라의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대화 플랫폼 사용에 대한 무료 크레디트를 비롯해 1대 1 기술 지원 및 투자 자문 등을 지원한다. 이뿐만 아니라 업계 최고의 벤처 캐피털 및 글로벌 혁신 기업과 네트워킹 기회가 주어지며, 스타트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한다. 이번 슈퍼소닉 프로그램 우승을 차지한 블라블라이엔엠은 아프리카TV 출신 세 명이 2020년 창업했다. 블라블라는 사업 성장과 글로
코리아스타트업포럼이 부산 창업가들의 다이내믹한 일상과 도전 정신을 담은 다큐멘터리 ‘THE창업가 : Busan Dynamics’(더창업가 : 부산 다이내믹스)를 제작하고, 오는 10월 10일 제27회 부산국제영화제 ‘2022커뮤니티비프’에서 첫 선을 보인다고 7일 밝혔다. 지난해 공개한 미니 다큐멘터리에 이어 두 번째 시리즈다. 코스포의 다큐멘터리 시리즈 ‘THE창업가’는 대한민국 창업가들의 창업가 정신을 사회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시작됐다. 동시대 창업가들에게 공감과 위로를 건네고, 대중에게는 스타트업의 혁신과 희망, 도전의 메시지를 공유하려는 취지다. 지난해 선보인 첫 번째 시리즈에는 비바리퍼블리카(토스), 소셜빈, 우아한형제들, 지구인컴퍼니, 직방, 컬리, 코드스테이츠 등 창업가들이 등장하며 주목 받은 바 있다. 이번 다큐멘터리는 대한민국 제2의 도시 부산에서 꿈과 희망으로 도전하는 창업가들의 다이내믹한 일상을 따라가며 영상을 제작했다. 스타트업 생태계의 90%가 수도권에 쏠려 있는 갖가지 한계 속에서, 돌파구를 찾아 성장하는 창업가들의 이야기를 통해 창업가 정신을 조망한다. 투자유치와 인재영입 등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사업적 환경에 어려움을 겪고, 사업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스파크랩이 오는 11월 11일까지 20기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가 기업을 모집한다고 7일 밝혔다. 2012년 출범해 올해 10주년을 맞이한 스파크랩은 해외 시장 진출 지원에 특화된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이다. 대표적인 포트폴리오로는 지난해 8월 코스닥 상장한 인사관리(HR) 테크 기업 원티드랩, 2018년부터 세계 최대 뷰티 유통 기업 세포라와 공동 개발 브랜드를 출시해오고 있는 미미박스(MBX), 컨테이너 형태의 모듈형 스마트팜을 아부다비 등 중동 지역에 수출하고 있는 엔씽 등이 있다. 스파크랩은 매년 두 차례 정규 기수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참가 기업에는 평균 1억 원의 초기 투자금, 멘토십을 기반으로 한 체계적인 맞춤형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300명 이상의 스파크랩 포트폴리오 창업자들로 구성된 ‘스파크랩 알럼나이 커뮤니티’를 통한 선배 창업자와의 직접적인 멘토링 및 파트너십도 지원하고 있다. 스파크랩은 또한 6개 대륙 120개 이상의 도시를 거점으로 기반으로 활동하는 우수 액셀러레이터들의 네트워크인 GAN(Global Accelerator Network)의 한국 유일 회원사로 활동하고 있다. 스파크랩의 모든 포트폴리오
트립비토즈가 일본 자유 여행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달 일본 예약 건수가 급증했다고 7일 밝혔다. 최근 일본 정부는 10월 11일부터 외국인 관광객의 무비자 입국과 개인 자유 여행을 허용한다고 발표했다. 기존 5만 명이던 하루 입국자 수 상한도 폐지하기로 했다. 2020년 3월 이후 약 2년 7개월 만이다. 트립비토즈가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한 달 간의 예약 데이터를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의 예약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일본 지역의 전체 숙소 예약 건수가 약 2,50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는 전체 국가 중 일본이 22위를 기록했지만 9월에는 2위에 등극해 일본 자유 여행에 대한 기대감이 매우 높으며, 실제로 일본 여행을 계획하는 고객들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지역별로는 코로나19 이전부터 인기 여행지였던 도쿄, 후쿠오카, 오사카 등의 인기가 여전히 높았으며, 순위는 도쿄(약 36%), 후쿠오카(약 24%), 오사카(약 22%), 기타 지역 순이었다. 또한 9월 내 트립비토즈에서 일본 숙소를 예약한 고객들은 평균적으로 여행을 떠나기 약 57일 전 숙소를 예약한 것으로 나타나 10월 11일 이후의 일본 여행을 계획하고 있는 고
간병인 중개 플랫폼인 케어네이션이 최근 나이스평가정보의 기술신용평가(TCB, Tech Credit Bureau)에서 ‘간병인 중개 플랫폼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기술 역량 우수기업으로 선정, 상위 3단계에 해당하는 T3등급을 획득했다고 지난 4일 밝혔다. 기술 등급 평가는 기업이 보유한 기술의 경제적 가치에 대하여 기업의 전반적인 기술성, 권리성, 시장성, 사업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해 등급 또는 점수 등으로 분류한 것이다. 기술 등급은 가장 높은 등급인 T1부터 T10까지 총 10개 등급으로 나눠진다. 상위 3단계인 T3등급은 코스닥 기술 특례 상장 조건에 해당할 만큼의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에게 주어지는 등급이다. 케어네이션은 상위 3단계에 해당하는 T3등급을 받아 우수한 기술력과 역량을 갖춘 기업임을 인정받았다. 케어네이션의 주요 기술 평가 내용은 빅데이터 및 알고리즘 분석 기술을 이용한 간병인 중개 플랫폼 서비스 제공과 간병인의 입찰제(역경매) 방식을 활용한 중개 서비스 및 간병인 앱 통장을 통한 자동 정산 프로세스 등이다. 케어네이션은 2016년 서울·경기권 최대 규모의 오프라인 간병 회사 ‘그린실버간병인협회’의 인수를 시작으로 202
스푼라디오가 지난 1월부터 9월까지 9개월간 연속 흑자를 기록했으며, 3분기까지 누적 매출로 340억 원을 달성했다고 5일 밝혔다. 스푼라디오의 이번 실적은 2021년 대비 영업이익이 230억 이상 증가한 수준이다. 앱 내 결제 금액 역시 매월마다 꾸준히 늘고 있는데, 이는 일본의 고소득 DJ 숫자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글로벌 시장 진출의 청신호가 켜진 것으로 보인다. 스푼라디오는 작년까지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성장하는 전략에서, 올해는 투자유치 없이 이익을 내는 전략으로 방향을 전환했다. 이후 서비스 본질에 대한 개선, 수익을 창출하는 디제이 성장에 집중하며 이번 성과를 만들어 냈다. 그 결과 지난 1월부터 매월 흑자를 기록하고 있으며, 3분기 기준 누적 340억 원 매출과 4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한 것이다. 스푼라디오의 이번 실적 상승의 주 요인은 ‘고소득 디제이 확보’다. 실제로 지난해 대비 올해 고소득 디제이 수는 작년 동기간 대비 840명에서 1,030명으로 20% 이상 증가했으며, 이 과정에서 디제이의 만족도를 높이고 마케팅 효율을 극대화해 비용의 효율화를 실현했다. 또한, 글로벌 시장의 선택과 집중을 통해 가능성이 높은 국가를
건국대학교 캠퍼스타운 사업단이 주최하고 하이브워크가 운영한 스타트업 투자 역량 강화 프로그램 ‘2025 KU 스타트업 스케일업: KU IR CAMP’가 지난 18일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 이번 프로그램은 바이오, ICT, 친환경(Green) 분야의 초기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IR 역량 강화와 실질적 투자 연계를 지원하기 위해 기획됐다. 본 프로그램에 총 29개 기업이 지원해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서류 심사를 통해 20개 기업이 최종 선정돼 1:1 로테이션 멘토링에 참여했다. 7월 14일부터 15일까지 이틀간 진행된 로테이션 멘토링에서는 선발된 기업들이 총 10개 투자사와 10라운드에 걸쳐 1:1 피칭 및 피드백을 반복 수행하며 IR 역량을 집중 향상시켰다. 멘토링 과정은 단순한 일회성 발표가 아닌, 다양한 관점의 투자사 피드백을 통해 피칭 내용을 구체화하고 실전 투자 대응력을 끌어올리는 기회로 작용했다. 특히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투자사와의 연속 피칭을 경험하면서 기업들은 발표 콘텐츠의 정제뿐 아니라 핵심 메시지 전달 방식까지 고도화할 수 있었다. 로테이션 멘토링 후에는 8개 기업이 최종 선발돼 7월 18일 데모데이에 참가했다. 이날 행사는 AC 및 VC
IT 및 창업 교육 전문기업 멋쟁이사자처럼(멋사)이 7월부터 SW·모빌리티 분야 전문 인재 양성과 협력사 채용 연계를 목표로 한 전액 무료 교육 과정의 수강생을 모집한다. 해당 교육은 현대모비스가 주관하는 ‘MOBIUS 부트캠프’로 사회 환원과 상생 가치 실현의 일환으로 진행되며, IT·SW 전문 교육기관인 멋사와 IT 교육 플랫폼 전문기관인 코드프레소가 공동 운영한다. 현대모비스의 협력사 40여 곳 이상이 참여를 확정했으며, 참여 기업 수는 지속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 교육은 오는 9월 22일부터 내년 3월 27일까지 총 6개월간 진행되며, △온라인 기반 모빌리티 SW 교육(이론, 실습 교육)과 △실무형 프로젝트(PBL: Project-Based Learning) 두 가지 과정으로 구성된다. 특히 가상 환경 실습 기반의 온라인 학습을 통해 장소와 시간 제약 없이 수강할 수 있다. SW 기초부터 모빌리티 특화 분야까지 폭넓게 구성된 커리큘럼은 교육생 개인의 희망 커리어에 맞춰 맞춤형 로드맵으로 제공된다. 교육 과정의 마지막 2개월간 진행되는 실무형 프로젝트(PBL)에서는 실제 협력사에서 직면하는 문제를 팀 프로젝트 형태로 해결하면서 현장 경험을 쌓을 수 있다
영상처리 AI 스타트업 메이아이가 2025년 상반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30% 이상 증가했다고 22일 밝혔다. 메이아이는 자사의 매장 분석 AI 솔루션 ‘매쉬(mAsh)’를 통해 오프라인 마케팅 성과 분석을 지원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매쉬는 매장 내 CCTV 영상을 AI로 분석해 방문객의 연령대, 동선, 체류 시간 등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핵심성과지표(KPI)를 비롯한 실질적 인사이트를 제공하며 공간 운영과 매장 경험 개선을 돕는다. 이번 매출 성장은 ▲고객 만족을 통한 매쉬 도입 확장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경쟁력 입증 ▲사용자의 데이터 활용성 증대 등이 주요 요인으로 작용했다. 현재 메이아이의 AI 엔진은 하루 평균 2만 5000시간 이상의 영상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 중이다. 메이아이는 스파오와 코웨이 갤러리 등 전국 단위로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는 기업들에 매쉬를 공급하고 고객 동선 최적화, 직원 응대율 개선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뒀다. 올해 상반기 기준 도입 매장을 확대한데 이어, 현재 삼성전자, 현대자동차, CGV 등 유수의 기업을 고객사로 확보하며 적용 사례를 빠르게 늘려가고 있다. 특히, 세계 최고 권위의 AI
사진 : 미리클넷 템플릿 검색 예시 이미지 디자인 플랫폼 기업 미리디가 국내 최초로 사용자의 디자인 목적과 흐름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디자인 특화 AI 엔진 ‘미리클넷’을 공개했다고 22일 밝혔다. 미리클넷은 미리디가 보유한 3000만 건 이상의 템플릿, 디자인 소스, 사용자 검색 기록을 학습해 독자적으로 개발한 디자인 전용 AI 엔진이다. 콘텐츠의 목적과 레이아웃, 분위기 등 사용자의 디자인 맥락을 이해하고 최적의 이미지를 찾아주는 추천·검색 기능이 특징이다. 미리클넷의 핵심 기능은 ▲다중 키워드 기반의 ‘템플릿 검색’ ▲디자인 맥락 기반 ‘스타일 추천’이다. 템플릿 검색은 ‘청첩장, 초록색, 캘리그라피’처럼 복합 키워드 입력 시 가장 유사한 레이아웃과 구성을 갖춘 템플릿을 실시간으로 추천하며, 연내 목차·차트·SWOT 분석 등 콘텐츠 구성 요소 검색 기능도 확장할 계획이다. 스타일 추천은 별도의 검색 없이도 수천만 건의 디자인 자산 중 적합한 일러스트·아이콘·패턴 등을 자동 선별해 제시한다. 특히 미리클넷은 올 초 출시한 이미지 생성·편집 AI 서비스인 미리클에도 적용됐다. 이를 통해 미리디에서 운영하고 있는 미리캔버스와 비즈하우스 사용자들은 자신의 작업물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는 2024년도에 이어 2025년도 로컬 창업기획자(액셀러레이터) 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충남콘텐츠진흥원과 공동개최 후, 성황리에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충남 소재 일반인과 대학(원) 생을 대상으로 모집된 이번 과정은 충남지역 창업 생태계를 이끌어갈 로컬 창업기획자(Accelerator) 양성을 목표로, 총 50시간에 걸쳐 스타트업 투자 및 보육 관련 실무 중심의 커리큘럼으로 진행되었다. 교육은 7월 2일부터 18일까지 실시간 온라인과 오프라인(천안 그린스타트업타운) 병행으로 진행되었으며, 창업 생태계 이해, 모태펀드 운영, 스타트업 투자계약, 투자조합 운영, 재무전략, 투자 심사보고서 작성 등 현업에서 바로 적용 가능한 실전 강의로 구성되어 있다. ‘전체 강의 수준이 높았고, 강의자들의 진심이 전해져 너무 좋았다’는 의견 등 교육생들의 높은 만족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 전화성 협회장은 “창업기획자는 스타트업 초기투자 생태계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스타트업의 성공과 성장에 있어 필수 역할을 담당하는 역할이라고 강조하며, 특히 지역 기반의 창업 생태계를 강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교육과정 종료 이후,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16일 춘천ICT벤처센터에서 『2025년 G-스타트업 투자유치 네트워킹 Day』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5년 G-스타트업 청년창업 지원사업에 참여 중인 창업기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실전 중심의 강연과 좌담회, 자유 네트워킹을 통해 투자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전략 수립 역량을 강화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1부 프로그램인 ‘기관별 투자 전략 강연’에서는 ▲최성용 본부장(강원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이희우 대표(한림대학교 기술지주회사) ▲정윤석 심사역(강원혁신센터 전략투자본부) 등 전문가들이 발표자로 나서 각 기관의 투자 검토 기준, IR자료에서 중점적으로 보는 항목, 대표자가 준비해야 할 전략적 요소 등에 대해 투자사의 관점에서 실질적인 정보를 전달했다. 이어진 2부 좌담회에서는 앞서 강연에 참여한 세 기관의 전문가들이 다시 한자리에 모여, 사전 수요조사와 현장 질의를 바탕으로 창업기업들의 궁금증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특히 기관별 투자 전략의 차이, 초기 스타트업이 강점을 효과적으로 어필하는 방법 등 실질적이고 현장감 있는 피드백을 제공해 참여 기업들로부터 높은 호응을 얻었다. 마지막 세션에서는 기관
충남콘텐츠진흥원이 도내 콘텐츠 기업의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2025 스케일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가 기업을 오는 31일까지 모집한다. 이번 프로그램은 ‘충남콘텐츠기업지원센터’ 사업으로 충청남도에 본사를 둔 기업 또는 협약일로부터 3개월 이내 충청남도로 본사를 이전할 콘텐츠 기업 대상 △기업 진단 기반 사업화 전략 기획 △전문가 멘토링 및 컨설팅 △IR 자료 제작 지원 등 맞춤형 액셀러레이팅을 지원한다. 특히 우수 참여 기업에는 프로그램 운영사인 액셀러레이터 씨엔티테크의 직접 투자(총 3억 원)와 중소벤처기업부 팁스 연계 기회를 제공한다. 충남콘텐츠기업지원센터는 2019년 개소 이후 지역의 콘텐츠 기업지원 인프라로서 보육공간 제공 및 매년 ‘스케일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 콘텐츠 기업을 선정하고 팁스(TIPS)와 연계했다. 또한 총 715억 원 규모의 투자조합에 참여해 지역 기업에 투자 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운영사인 씨엔티테크는 국내 대표 액셀러레이터로, 5년 연속 투자 실적 1위를 기록했으며, 2024년 한 해 동안 109개 사에 총 215억 원을 투자하는 등 우수한 실적을 달성했다. 올해 진흥원과 함께 해당 참여
B2B·B2C 전문가 매칭 플랫폼을 운영하는 커리어데이가 중소벤처기업부에서 주관하는 '창업도약패키지'에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창업도약패키지는 혁신성과 시장성을 갖춘 창업 3~7년 차 도약 기업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커리어데이는 AI로 전문가의 경력 데이터를 분석하고 기업에 검증된 전문가를 연결해 주는 기술력을 인정받아 선정됐다. 커리어데이는 창업도약패키지를 통해 최대 3억 원의 사업화 자금과 함께 ▲후속 투자 유치 연계 ▲IR 컨설팅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조사 및 인증 획득 ▲마케팅·기술 고도화 지원 등의 창업 프로그램도 제공받게 됐다. 서비스 5년 만에 2만 6000명에 육박하는 전문가 네트워크를 구축한 커리어데이는 마케팅, HR, 시장조사 등 기업에서 발생하는 비즈니스 과제 해결에 최적화된 전문가를 매칭시켜 주는 것을 기반으로 현재 300개 이상의 기업 고객사에서 이용하고 있다. 커리어데이는 이번 창업도약패키지를 통해 자체 개발한 AI 매칭 알고리즘 정교화에 주력하는 것은 물론 전문가 네트워크와 기업 고객군 확장에도 본격 나설 예정이다. 강경민 커리어데이 대표는 "전문가가 보유한 경험과 전문성을 데이터화하고 기업에 필요한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