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스타트업투자사베이스인베스트먼트가 네일아트 플랫폼 '젤라또' 운영사인 '젤라또랩'에 1호 투자를 완료하고 본격적인 투자활동에 나선다고 24일(한국시간) 밝혔다.베이스인베스트먼트는티켓몬스터 창업자 신현성 의장과 강준열 전 카카오 CSO(최고서비스총괄, 부사장)가 설립한스타트업투자사이다. 젤라또랩은 2017년 7월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1만 개 이상의 네일샵 정보와 국내 최다 네일 디자인 컨텐츠를 제공하는 '젤라또' 앱을 서비스 하고 있으며, 젤라또의 데이터 기반으로 예측한 네일트렌드를 제품화 한 셀프 네일스티커 '하또하또 네일핏' 제품을 제조, 판매하고 있다. 베이스인베스트먼트는 투자사 설립을 준비중이던 2017년 말에 젤라또랩의 초기 성과를 바탕으로 이미 투자를 확정했으며, 펀드 설립 완료 직후인 최근에 1호 포트폴리오로 투자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젤라또 앱은 지난 4월 말 기준 50만 다운로드를 넘어섰으며, 매일 3000여 장의 네일 디자인이 새롭게 업로드 되어 여성 유저들의 즐겨찾기 앱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젤라또랩은 앱을 통해 수집된 네일 디자인 선호도를 빅데이터로 축적, 이를 분석해 최신 트렌드를 정확히 간파한 디자인의 셀프 네일 스티커 하또하또
image credit :베이비프렌즈 베이비프렌즈는 신한카드 공식 파트너로 선정되면서 신한퓨처스랩과 함께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지난 17일 밝혔다. 베이비프렌즈는 육아맘 대상으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 '베이비프렌즈'를 운영하는 회사로. 0-7세 아기를 키우는 밀레니엄 육아맘이 아기가 생기고 엄마가 되어가는 과정을 함께 할 수 있도록 비슷한 연령에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을 서로 연결해줘 정보를 공유하고 힐링 할 수 있게 도와주고 있다. 카카오벤처스와 카이스트청년창업투자지주, 은행권청년창업재단으로부터 6억원에 투자를 유치하고 지난해 TIPS프로그램(민간투자 주도형 기술창업지원)에도 선정된 바 있다. 신한카드는 베이비프렌즈가 올 1월 신한퓨처스랩 4기에 선정됨과 함께 공식파트너 지정되어 협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30-40 육아맘을 대상으로 한 사업영역 전반으로 확장 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 금번 전략적 투자를 진행하게 되었고 밝혔다. 이번 투자를 통해 베이비프렌즈는 기존에 매월 한달에 한번 배송비만 결제하고 무료로 출판해 받아볼 수 있는 '월간 무료포토북' 서비스를 배송비 마저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베이비프렌즈 류민희 대표는 "매년 낮아지는 출산율에 비해
California-based a menstrual care startup, Rael announced today its closing of a $2.1M pre-Series A funding round led by SoftBank Ventures Korea, a SoftBank Group early stage venture capital arm, followed by a group of noteworthy firms and investors including Thrive Market, the leading e-commerce platform for affordable natural and organic products. Launched in 2017, Rael is led by three female co-founders: Aness An, a journalist and bestselling author;Binna Won, an architect-turned-art-director; and Yanghee Paik, a former distributor at The Walt Disney Studios with a Harvard MBA. Frustrated b
Lingvist app 링비스트(Lingvist)는 2013년에 설립된에스토니아 탈린 기반의 스타트업으로언어 학습을 보다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통계 분석 및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혁신적인 언어 학습 플랫폼을 구축하고 있다. 링비스트(Lingvist)는 사용자가 200 시간 이내에 새로운 언어를 배우도록 돕기 위해 고안되었고, 이론적으로 가능한 한 빨리 언어 학습 과정을 만들기 위해 수학적 최적화와 통계를 적용한다. Screenshot 학습자는 통계적 관련성에 따라 어휘를 사용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단어를 학습함으로써 시작되며,Lingvist프로그램은 사용자의 실수와 진행 상황을 추적하고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모든 사용자에게 코스를 적용한다. 이것은 모두 Lingvist가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학습 속도를 10배 높이고 애플리케이션에 소요되는 시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Lingvist는 모든 컴퓨터, 스마트 폰 및 태블릿에서 작동하며 베타 버전에서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전통적인 교실 기반 학습은 비용이 많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Lingvist 학습자는 언제 어디서나 공부할 수 있다. Li
사진:신용보증기금 서울서부스타트업지점 김상철 지점장과(왼쪽) 솔루게이트 민성태 대표이사(오른쪽) 인공지능 기반의 음성인식, 가상상담시스템, 챗봇 등 솔루션 개발 전문기업 솔루게이트(대표 민성태)가 신용보증기금(이하 신보)으로부터 2018년 ‘퍼스트펭귄형 창업기업’에 선정되었으며, 투자유치도 확정됐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투자심사위원회에서 솔루게이트는 ‘복합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증방법(지식기반의 성문인증)’ 특허, ‘딥러닝을 이용한 한국어 개체명 인식장치 및 방법’ 특허, ‘음성인식 학습 시스템’ 특허, ‘음성인식 신뢰도 판단시스템’ 특허, ‘감성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특허와 인공지능 관련 특허(2건)로 기술 혁신성, 시장 잠재성, 비즈니스 가능성 등을 인정받아 13억원을 투자유치했다. 특히 솔루게이트의 ‘지식기반의 성문인증’, ‘음성인식 학습 시스템’ ,’음성인식 신뢰도 판단시스템’, ‘감성정보 추출장치 및 방법’ 등의 다양한 특허는 자연어 기반의 실시간 음성인식에 대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솔루게이트 민성태 대표는 "가상 콜 상담이나 AI비서, IoT 디바이스와의 융합산업발전에 이바
©https://www.saillog.co/ 세일로그(Saillog)는 2017년 설립된이스라엘 텔아비브 기반의 농업 테크 스타트업으로농작물 및 해충 관리를 위한 인공 지능과 컴퓨터 비전 알고리즘을 활용한다. Saillog가 출시한 Agrio앱은 전 세계 30,000 명이 넘는 농부들이 활용하는 다국어 지원 플랫폼 스마트 폰 응용 프로그램이다. Agriog 앱은 사용자가 병에 걸린 작물의 이미지를 업로드 한 다음 인공 지능 알고리즘을 통해 자동 질병 식별을 위해 분석한 한다, 사용자는 몇 초 안에 답변을 받을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최적의 치료 방법에 대한 의견을 제공하는 전문가 팀과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다. 지난 3월에 Saillog는 최초의 AI 작물 질병 및 해충 경보 시스템Agrioshield를출시하였다. Agrioshield는 프리미엄 서비스이며, 인근 농장에서 농작물 질병과 해충이 발견된 후 가입자들에게 통보한다. 이러한 경보는 서면 예방 조치와 함께 감염을 예방하고 생산 손실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네시 베니시(Nessi Benishti) :CoFounder 웹사이트 :https://www.saillog.co/
인공지능(AI) 기반 에듀테크(edu-tech) 기업 알고리즘랩스가 정상JLS와 전략적 투자 및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투자를 계기로 알고리즘랩스는 자체 개발한 소프트웨어(SW) 교육 컨텐츠와 전문 코치를 정상JLS가 운영중인 전국 100여개 학원에 제공하게 된다. 지난 4월 대치동 정상수학학원에 강좌를 개설한 알고리즘랩스는 올여름 목동과 분당 정상 분원에 추가 강좌를 개설하고 전국적인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알고리즘랩스는 AI 알고리즘과 SW 교육을 연구하는 에듀테크 스타트업으로, 알고리즘랩스의 교육 커리큘럼은 미국 MIT, Stanford 대학교의 컴퓨터 사이언스 과정을 토대로 국내 최고 알고리즘 전문가 집단에 의해 개발됐다. 온라인 강의 시스템 MOOC과 문제풀이, 성적관리 시스템 LMS을 바탕으로 학생의 수준에 맞는 문제와 강의를 AI가 제공하는 어댑티브러닝(Adaptive Learning)과 온오프라인 수업을 혼합한 블렌디드러닝(Blended Learning) 교육을 추구한다. 2017년 정주영 창업경진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했고, 미래창조과학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K-Global 300과 K-Glob
(왼쪽 3번째부터 에버스핀 하영빈 대표, SBI Holdings 키타오 회장) 한국 보안 스타트업 에버스핀이 총 2,000만불(한화 환산: 약210억원)을일본 금융그룹 SBI Holdings(1,500만불)와 홍콩 유명 PE투자사인 Blackpine(500만불)로 부터투자 유치 했다고는 10일 발표했다. 금번 투자를 리딩한 일본 SBI Holdings는 20여개국에 증권, 은행, 보험 등 약 200여개의 계열사를 보유한 종합금융그룹으로, 2018년 3월말 연결기준으로 매출 3조3천억원과 자산 45조원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2018년 여름 암호화폐 거래소 개장을 예정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캐시(BCH)를 결제통화로서 리플(XRP)를 송금통화로서 코인의 상용화를 계획하고 있는 차세대 금융리딩그룹이다. 또한, 미국 가상화폐거래소 '크라켄'과 세계 최대 금융특화 블록체인 컨소시엄 'R3'등 8개 블록체인 기업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Blackpine은 중국에서 알리바바에 이어 두번째로 큰 핀테크 기업이자 P2P 대출 스타트업 루팍스(기업가치 약 65조)를 발굴한 투자사이다. 또한, Blackpine의 창업자 로렌스 추는 홍콩 이더리움협회 설립자 제한 추와 함께
사진 :스파크랩 데모데이에서 발표하는 진캐스트 백승찬 대표 액체 생검을 통해 암 조기 진단 및 모니터링이 가능한 유전자 암 진단키트를 개발한 ㈜진캐스트(대표 백승찬)가 52억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진캐스트는 지난달 파트너스인베스트먼트, 기술보증기금, 심본투자파트너스 등으로부터 32억원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한 데 이어 5월 8일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 IBK캐피탈, 심본투자파트너스로부터 20억원 투자를 유치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투자에는 타임와이즈인베스트먼트가 10억원, IBK캐피탈이 5억원, 심본투자파트너스가 5억원 규모로 참여했다. 시리즈A 투자유치에 성공함에 따라진캐스트는IDPS기술을 적용한 액체 생검 암 조기 진단키트의 생산 설비 구축과 임상 및 인허가 자금을 마련, 2019년 암 조기진단 키트 상용화 계획을 무리없이 진행하게 됐다. 진캐스트는 암 변이 유전자만을 선별적으로 증폭하는 암 진단 플랫폼 기술인 인터널리 디스크리미네이티드 프라이밍 시스템(IDPS)을 통해 액체 생검 최대 난제인 검출 민감도를 백만분의 일 이상으로 높여 암 조기 진단이 가능한 진단키트를 개발하는 바이오기업이다.
images :Cheerble Technology via Kickstarter 바빠서 반려견과 놀아주지 못하는 반려견 소유자를 위해 만들어진 반려견용 스타트 토이 '위키드본(Wickedbone)'은세계 최초의 완전히 상호 작용하는 스마트한 장난감으로 앱을 통해 언제든지 Wickedbone을 제어할 수도 있다. 위키드본(Wickedbone)은반려견 행동에 반응하는 인터랙티브 한 장난감이며,FDA 인증 소재로 만들어져 안전하고 내구성 있고 부드럽다. 위키드본 (Wickedbone)의 제조사는 "이 장치가 반려견과 함께 놀면서 편안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충분히 부드럽고 안전하고 강한 물질로 만들어졌다"고 강조하며, "이 똑똑한 개 완구가 반려견의 불안과 건강 및 행동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라고 말한다. Wickedbone은 현재 킥스타터에서 크라우드 펀딩 캠페인을 진행하고 있다. 킥스타터 페이지 링크http://kck.st/2raMyh6
인공지능 스타트업 ㈜아크릴은 (대표 박외진,www.iacryl.com)은 LG전자㈜로부터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2일 발표했다. 신주 인수 방식으로 이뤄진 이번 투자를 계기로, LG전자㈜의 로봇 제품군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양사 간 협력이 더욱 긴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LG전자㈜는 ㈜아크릴의 인공지능 플랫폼 ‘조나단’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해 2017년 12월에 오픈 이노베이션 대상 업체로 선정했고, ㈜아크릴과의 전략적 관계를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하여금번에 총 10억 원의 지분 투자를 결정하게 되었다. 딥러닝 기반 언어,지식 구축 및 감성 인지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는 ㈜아크릴은2011년LG스마트TV에서 제공되는 콘텐츠 감성 추천 서비스를 국내 최초로 상용화하였다. 아크릴은 현재 국내 최초로 개발한 공감형 인공지능 플랫폼‘조나단(Jonathan)’을 이용하여,지식 기반 질의응답 서비스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감성을 인지하여,가장 적절한 형태의 공감을 표현해주는 차세대 인공지능 서비스 구축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어 ‘조나단 프레임(Jonathan-Frame)’과 ‘조나단’의 기능을 탑재한 아크릴의 인공지능 챗봇을 곧 선보일 예정이다. 아크릴 박외진 대표이사
사진: 애드포스 인사이트 홍준 대표 블록체인 애드테크 컴퍼니 애드포스 인사이트(AD4th Insight 대표 홍준)는 캡스톤파트너스로부터 투자를 유치했다고 5월 2일 밝혔다. 애드포스 인사이트는 ‘아시아 NO.1 블록체인 애드테크 컴퍼니’를 비전으로 네이버, 카카오, 라인 출신의 IT 전문가들 뿐 아니라 SK텔레콤, 이베이, 쿠팡, GS홈쇼핑, 조선미디어 및 유망 스타트업 출신의 다양한 비즈니스 도메인 전문가들을 영입하고, 우수 인재들의 기술 및 비즈니스 역량을 바탕으로 여러 기업 및 대학과의 협력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애드테크 사업을 비롯한 다양한 신규 비즈니스를 추진중이다. 지난 3월에는 블록체인 비즈니스 전문 동영상 미디어 ‘블록체인 세상’, ‘쫄지마! 블록체인’, ‘블록체인 백과사전’과 블록체인 비즈니스 뉴스레터 서비스를 시작하며, 블록체인 미디어 사업에 진출했다. 또한 블록체인 미디어 사업 성과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비즈니스 행사 및 교육 분야까지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으며 2조원 가량의 가치로 국내외에서 높은 주목을 받고 있는 아이콘(ICON) 기반 블록체인 생태계 구축 협력사업도 본격화한다. 애드포스 인사이트의 홍준 대표는 “광고 중개자나 일부
사진:KITEE / KSEA NRC 아이디어 피치 컴피티션 결과 발표 후, 발표자들과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image credits :KITEE 재미한인혁신기술기업인협회 (KITEE, 회장 이명종)는 재미한인과학기술자협회 (KSEA) NRC와 공동으로 지난 4월 27일 저녁 Englewood Cliffs 소재 LG전자 대회의실에서 제 2회 KITEE 아이디어 피치 컴피티션을 개최하였다. 이날 대회에는 IT, BT 등 여러분야의 전문가, 개발자, 디자이너, 대학생, 기업인, 청년 창업자, 특허 변호사 등 40여 명이 참석하였다. 1차 서류 심사를 통과한 7개의 한인 창업가들이 경연한 이 대회에서는, 정보통신, 바이오기술, Fintech, 인공지능, 빅데이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 등 여러 분야에서의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이를 이용한 사업계획들이 발표되었다. 1등상은 하버드 재학생들을 중심으로 창업한 COCONUT, 2등상은 바이오칩을 개발하고 있는 ABONICS (대표: NJIT 이언수 교수), 그리고 3등상은 효율적인 케이블 모니터링 시스템을 발표한 럿거스 박사과정 노선호 씨가 각각 수상하였다. COCONUT은 비트코인 등의 암호화된 화폐들을 신용화
루미(Roomi) 사람들이 융통성 있고 저렴한 공동생활 솔루션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모바일 플랫폼을 목표로 2013년 탄생한 뉴욕 기반의 스타트업으로, 2015년에 200만 달러의 시드 자금으로 공식 출범하였으며 첫 해에 10만 개의 앱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현재 루미(Roomi)는 110만 명의 등록된 사용자와 총 1천7백만 달러의 자금을 보유하고 있다. 루미(Roomi)는 대도시의 젊은이들이 방을 임대해 주고, 방을 빌려 주고, 룸 메이트를 구하는 것을 더 안전하고 쉽게 해 주는 피어 투 피어 마켓 플레이스(peer-to-peer marketplace)이다. 루미(Roomi)사용자는 자세한 프로필을 작성하고 소셜 미디어 계정을 연결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쉽게 장소를 리스팅하고 Roomi는 모든 리스팅을 확인해 준다. 방을 둘러본 잠재적인 룸메이트가 방을 온라인으로 예약하고 첫 달 임대료를 안전하게 지불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Roomi 최근 사업내역 2017 년 11 월 - Roomi, 시리즈 A 기금으로 1100만 달러 투자유치 2018 년 3 월 - Roomi, 뉴욕 최고의 룸메이트 검색 서비스 인 Symbi의 인수하여 공동 주택 커뮤니티 확
image credit :당근마켓 중고 직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이 지난 24일 57억원 규모의 시리즈B 투자를 유치했다고 발표했다.이번 투자에는소프트뱅크벤처스는 45억원을 투자했으며, 카카오벤처스·스트롱벤처스도 공동으로 참여했다. 당근마켓은 '당신 근처에서 만나는 마켓'이란 뜻으로, 사용자가 거주하는 동네에서 중고 물품 직거래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이다. 모바일로 간편하게 물건을 등록하고 채팅으로 소통해 의류, 전자제품, 유아용품 등 필요한 물품을 10분 거리 내의 이웃과 만나 거래할 수 있다 당근마켓은 동네 인증, 매너 평가, 거래 후기 등 신뢰도 평가에 주력해 이용자들이 앱 내 상대방의 매너 온도 점수를 확인하고 안전한 거래를 할 수 있게 했다. 기존 중고 거래 서비스와는 달리 매너 있는 거래를 통해 꾸준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빠르게 퍼져나가고 있다. 이 회사는 2015년 7월 서비스 출시 후 2년 간 입소문을 통해 180만 건의 누적 다운로드 수를 기록했으며, 월간 방문자 수(MAU)는 70만 명으로 작년 대비 약 6배 성장했다. 또한 이용자당 월 평균 방문 횟수 25회, 일 체류 시간 21분을 기록하며 고착도(Stickness) 높은 서비스로 성장하였
사진: 레티널의 노지원 사업개발리드(왼쪽 첫번째)가 스마트글라스 솔루션 기술 시연을 하고 있다. AR 광학기술 기업 레티널(LetinAR)이 글로벌 모빌리티 기술 기업 아우모비오(AUMOVIO)가 싱가포르에서 개최한 ‘2025 AUMOVIO InnoXperience’ 컨퍼런스에 참가했다. 레티널은 AR HUD(Head-Up Display) 및 스마트글라스 솔루션을 선보이며 글로벌 모빌리티 공급망 편입 가능성을 모색했다. 레티널은 자체 개발한 PinTILT™ 광학기술을 적용, 초소형·저비용 AR HUD 및 스마트글라스 솔루션을 공개하며 큰 관심을 받았다. 특히 아우모비오 연구개발진 등 글로벌 전문가들과 사용자 경험(UX) 개선과 비즈니스 모델 등 구체적인 협업 방안을 논의했다. 이 행사는 아우모비오가 ‘Software-Defined Mobility’를 주제로 혁신 기술을 발굴하기 위해 마련한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이다. 레티널의 참가는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의 'ICT창의기업육성사업' 지원으로 이뤄졌다. GDIN 김종갑 대표는 "국내 스타트업 기술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해외 유수 기업과의 테크 매칭 기회를 확대해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오는 11월 5일 오후 1시 춘천ICT벤처센터 대회의실에서 ‘2025 강원BRIDGE DEMODAY [G-스타트업X푸드테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데모데이는 강원혁신센터가 운영 중인 G-스타트업 청년창업 지원사업과 강원 BRIDGE 푸드테크 육성사업 참여기업 12개 사가 참가해, 기업의 우수한 기술력과 사업 성과를 알리고 투자 유치 및 협력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행사에서는 더밀크 손재권 대표의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전략’을 주제로 특별 강연을 진행하며, 국내 주요 벤처캐피탈 및 투자사 10여 곳이 참여하는 1:1 맞춤형 투자상담회와 참가자 네트워킹 세션도 함께 운영된다. 이번 데모데이는 창업과 투자에 관심 있는 누구나 사전신청을 통해 무료로 참관할 수 있으며, 강원혁신센터 홈페이지에서 신청이 가능하다. 강원혁신센터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지역 내 우수 스타트업의 기술력과 성과를 널리 알리고 실질적인 투자로 이어질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자리”라며 “유망 스타트업과 투자자, 유관기관이 한자리에 모이는 만큼, 창업과 투자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강원혁신센터는 강원특별자치도, 중소벤처기
AI 거브테크 스타트업 웰로가 자사의 공공사업 SaaS 솔루션 '웰로비즈(WelloBiz)'에 대한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 SaaS 표준등급을 22일 취득했다고 밝혔다. CSAP는 공공기관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할 때 필수적인 국가 보안 표준 검증 절차로, '표준등급'은 공공기관 내부 행정 업무 및 주요 데이터를 다루는 시스템에 적용되는 최고 수준의 보안 인증이다. 웰로비즈는 총 14개 분야 79개 항목의 엄격한 심사를 통과하며 기술 신뢰성과 보안 체계를 공식적으로 인정받았다. 이번 인증을 통해 웰로비즈는 공공조달 SaaS 시장 진입 자격을 확보했다. 공공기관은 별도의 보안 심사 없이 웰로비즈를 도입할 수 있어 행정력 및 예산 절감 효과를 얻게 된다. 웰로비즈는 정부지원사업 및 조달사업 관리를 지원하는 AI 기반 SaaS로, 현재 7,000여 고객사에서 63만 건의 사업이 연동 운영 중이며, 공공사업 탐색 시간을 최대 18배 단축시키는 등 업무 효율화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웰로는 이번 CSAP 표준등급을 발판 삼아 AI 솔루션 '웰로비즈 공공기관용' 배포를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 재정, 국방 등 고도 보안 영역의 특화 SaaS 개발 을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지난 17일 강원창작개발센터에서 개최한 ‘창업 BuS X 강원 스타트업 IR 피칭데이’ 행사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2025년 춘천시 스테이션-C 창업 엑스포’를 기념하여 강원대학교 KNU 창업혁신원과 공동으로 개최한 이번 행사는 △스타트업 IR 피칭 △투자사와 IR 피칭 기업의 1:1 매칭 투자상담회로 구성됐다. 1부인 스타트업 IR 피칭은 강원혁신센터에서 운영하는 창업-BuS 프로그램 신청 유망 스타트업(△신렉스 △커넥츠 △에이엠알랩스 △베지라이프 △비비바바 △로컬리)과 강원대의 유망 스타트업(△네오에이블 △비티에너지 △헬스클라우드 △이에프엠)이 함께 국내 유수의 투자사들에 사업의 혁신성과 우수성을 보여줬다. 2부의 투자상담회는 IR 피칭 심사에 참여한 10개의 투자사들이(가나다순 △강쎈 △강원대학교기술지주회사 △로이투자파트너스 △로간벤처스 △리벤처스 △스타벤처스 △크립톤 △트리거투자파트너스 △트윈플러스파트너스 △하임벤처투자) IR 피칭 기업을 1:1로 전담하여 기업 맞춤형 투자 상담을 제공했다. 이해정 강원혁신센터 대표이사는 “이번 행사가 유망 스타트업의 혁신성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었다고 생각한다.”라며 “앞으
올인원 AI 비즈니스 메신저 채널톡을 운영하는 채널코퍼레이션이 '채널콘 2025'의 상세 프로그램을 20일 공개했다. 11월 6일 강남 아모리스 역삼에서 열리는 이번 콘퍼런스의 주제는 'AI: REAL CASES ONLY'다. AI(인공지능)를 실제 업무에 도입해 성과를 창출한 각 분야 리더들의 AX(AI Transformation) 프로젝트 사례를 공유하고, 기업의 새로운 성장 전략을 모색하는 것이 목표다. 알토스벤처스 김한준(한킴) 대표, 마이리얼트립 이동건 대표를 비롯해 VC·대기업·스타트업 등 국내외 현업 전문가 20여 명이 연사로 참여한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 Real AI Startups: AI 도입으로 비즈니스 성과와 조직 혁신을 이룬 국내 AI 유망 스타트업 사례 공유 (오픈서베이, NNT, 모두싸인, 트렌디어AI 등). * AX Thought Leaders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의 AI 기술 접목 변화와 인사이트 논의 (글로벌브레인, 낭만투자파트너스, 비팩토리 등). * 패널 토크: 'AI 시대, 성장하는 기업은 뭐가 다를까?'를 주제로 AI 스타트업의 성장 전략 집중 토론. 채널코퍼레이션 최시원 대표는 "AI 중심으로 재편되는
강원창조경제혁신센터는 네이버클라우드와 공동 주관으로 10월 16일 서울 역삼 네이버 스퀘어에서 ‘2025 디지털 헬스케어 AI 세미나’를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하는 지역혁신클러스터(비 R&D) 2기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된 이번 세미나는 ‘디지털 헬스케어 AI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국내 헬스케어 산업과 인공지능(AI) 기술의 융합 방향과 발전 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행사장에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AI산업 관계자와 유관기관, 기업 대표 등 130여 명이 참석해 AI기반 헬스케어 기술의 산업적 활용과 비즈니스 확장 가능성에 대해 활발하게 의견을 교환했다. 강연 세션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 이상우 이사의 ‘AI 개발과 Cloud 서비스’를 시작으로 △(주)제이엘케이(JLK) 류위선 이사의 ‘의료 영상 AI개발 및 현장 적용’ △알피 김중희 대표의 ‘의료시그널 AI개발 및 현장 적용’ △(주)아크릴(ACRYL) 박외진 대표의 ‘MLOps Platform’ △위뉴 황보율 대표의 ‘LLM 활용한 의료서비스 개발1’ △헬미닥 박형준 대표의 ‘LLM 활용한 의료서비스 개발2’을 주제로 사례 기반의 강연이 진행되었다. 이어 ㈜메인 육현
축산 기후테크 스타트업 메텍홀딩스가 최근 세계 최초로 ‘가축용 메탄 측정 캡슐’ 디자인 특허(등록번호 제30-1323666호)를 획득했다고 지난 10일 밝혔다. 이번 디자인 특허는 단순한 기술적 발명뿐 아니라, 가축의 생체환경과 안전성을 고려한 인체공학적 설계가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글로벌 축산업의 탄소 감축 및 스마트 축산 혁신을 위한 핵심 기반이 될 전망이다. 메텍홀딩스가 독자적인 기술로 개발한 가축용 메탄측정 캡슐은 반추가축(소 등)의 위 내에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실시간으로 측정·분석하는 혁신적 디바이스다. 이 회사는 디자인 특허까지 획득하여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보호받을 수 있게 되었다. 기존의 외부 측정 장비나 불완전한 추정 방식과 달리, 캡슐 형태로 가축의 체내에 투여되어 정확한 배출량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축산업의 저탄소 인증 및 탄소배출권 창출에도 직접 활용 가능하다. 축우 메탄가스 측정과 저감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 메텍홀딩스의 메탄캡슐은 소의 반추위에 삽입되어 메탄 농도를 24시간 실시간 측정하고, IoT 통신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는 구조다. 메텍홀딩스 박찬목 대표는 “이번 세계 최초 메탄 캡슐 디
글로벌 뮤직테크 기업 엠피에이지(MPAG)가 AI 음악 교육 앱 ‘마이뮤직파이브(mymusic5)’를 정식 출시했다. 이 앱은 연주자의 소리를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정확도를 판별하여 체계적인 연습을 돕는 혁신적인 솔루션이다. 마이뮤직파이브의 핵심 기능은 ▲파트별 연습 모드 ▲AI 사운드 인식 기반 ‘자동 넘김’ 기능이다. 특히 자동 넘김 기능은 손으로 악보를 넘길 필요 없이 연주 몰입도를 극대화한다. 또한 엠피에이지의 글로벌 디지털 악보 플랫폼과 연동해 30만 개 이상의 악보를 제공하며, 사용자 간 숏폼 영상 커뮤니티 기능도 갖췄다. 엠피에이지는 자체 연구소를 통해 음의 높이, 길이, 강약 등을 정밀 분석하는 음악 인식 AI 기술을 개발해왔다. 이러한 독보적인 기술력으로 출시 직후 1,000명 이상의 사용자를 빠르게 확보했으며, 향후 AI 음악 학습 기능을 단계적으로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정인서 엠피에이지 대표는 “글로벌 최고 수준의 악기 사운드 인식 기술과 디지털 악보 시장 경험을 결합해 전 세계 음악인들에게 사랑받는 서비스를 만들겠다”고 밝혔다.